DOI QR코드

DOI QR Code

부천 국제만화축제 브랜드 인식에 관한 연구: 참관자와 비참관자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Brand Recognition of BICOF : Comparative Analysis on the Visitor and Non-Visitor

  • 윤지영 ((재)부산발전연구원) ;
  • 임학순 (가톨릭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 투고 : 2012.01.30
  • 심사 : 2012.03.09
  • 발행 : 2012.03.31

초록

글로벌시대에 이르러 축제에 대한 영역은 확장되어 하나의 관광콘텐츠로서의 역할 뿐 만 아니라, 나아가 도시의 이미지 및 정체성을 결정하는 요인으로서, 그 도시의 브랜드가치를 증진시키는 요인으로 주목받고 있다. 문화도시를 지향하는 부천시 또한 부천국제만화축제를 통해 도시의 활성화를 위한 문화자원으로 활용하고자 하고 있다. 이 연구는 부천국제 만화축제의 브랜드 자산 가치에 대한 평가지표모델을 개발하고, 개발된 평가지표모델을 통해 부천시민들의 축제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고,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지표모델을 개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부천시민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축제 참관여부에 따라 두 집단으로 나누어 각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조사는 국제만화축제 평가지표모델을 인구학적 조사와 방문동기, 만화의 가치, 축제브랜드 인지도 및 연상이미지, 축제에 대한 지각된 품질 및 충성도, 축제의 국제성 및 도시 활성화 측면으로 나누는 등 9개의 평가범주를 설정하였다. 각 설문문항은 5점 척도로 구성하였다. 설문분석결과, 축제참관동기로는 '자녀 교육을 위해'가 가장 높았으며, 참관하지 않은 이유로 '축제정보를 알지 못해서'가 가장 높게 집계되었다. 만화의 가치 중 두 집단 모두 산업적 가치를 가장 높게 평가하였으며, 각 설문항목에 있어 축제 참관여부에 따라 축제에 대한 인식 격차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부천국제만화축제 브랜드 인식은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도시 활성화'지표와 '만화의 가치'지표가 상대적으로 높고, '축제의 국제성'지표가 가장 낮았다. 또한 개발된 평가지표모델의 구성범주마다 축제의 참관여부에 따른 인식의 차이가 다르게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분석결과를 종합하고, 시사점을 도출함으로써 향후 부천국제만화축제의 발전 전략을 수립하는 준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As the Global Age has arrived, the domain of festivals has expanded to fulfill the role of being not only a tourist attraction but of being a factor that determines the image and identity of cities, and the factor of enhancing the brand value of a particular city is being focused upon. The city of Bucheon, which aims to be a culture oriented city, is attempting to utilize the Bucheon International Comics Festival as a cultural asset for the revitalization of the city. This study has as its purpose the development of an evaluation index model on the brand value of the Bucheon International Comics Festival and research being conducted based on the developed evaluation index model on the awareness level of the citizens of Bucheon of the festival. In regards to this, the theoretical background was examined and the index model was developed based on precedent research. Based on this, a survey of 1,000 citizens of Bucheon was conducted in this study.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500 persons, dividing them into 2 groups according to whether they participated in the festival. The survey of this study established 9 evaluation categories for the International Comics Festival evaluation index model which consists of demographic research and participation motivation, value of comics, festival brand awareness and association image, perceived product quality and loyalty for the festival, internationality of the festival and urban activation. Each survey question is composed of 5 points scale measurement. As a result of the survey, 'for an education of children' was the highest for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not knowing of the festival information' was the highest for the reason of not having participated. The industrial value was evaluated as the highest among the value of comics by the both two groups, and it was studied that there was perception gap for the festival according to whether they participated in the festival for each survey question. It was revealed that the level of awareness of the Bucheon International Comics Festival was "normal," the "city revitalization" index and the "value of comics" index were relatively high and the "international character of the festival" index was the lowest. Furthermore, it was shown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awareness of the established categories of the developed evaluation index model based on whether or not there was participation in the festival. This study comprehensively organizes these analytical results and derives implications which can be used as data for the criteria of the development of future strategy for the Bucheon International Comics Festival.

키워드

참고문헌

  1. 이승종 외, 축제와 문화, 연세대학교 출판부 , 2003.
  2. 이강욱, 문화관광축제의 영향 및 운영효율화 방안: 금산인삼축제 사례 연구, 한국관광연구원, 2003.
  3. 아오키 유키히로, KMAC CS경영본부 역, 소비자 행동 예측을 위한 브랜드의 기본력 진단모델: 전략적 브랜드 관리의 이론과 사례, 21세기북스, 1999.
  4. 강석정, 브랜드 자산가치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Journal of Global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8호(2001), pp.1-35.
  5. 김홍범, 장호성, 관광지 방문 후 이미지가 관광객의 태도와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학연구, 32권 3호(2008), pp.209-229.
  6. 임명재, 정강환, 관광이벤트의 체험이 목적지 브랜드 인지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학연구, 32권 4호(2008), pp.255-275.
  7. 서용모, 천명환, 김형준, 도시정체성을 통한 도시마케팅 전략 도출: 근대역사물의 활용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지, 10권 6호(2010), pp.297-306.
  8. 신동식, 컨벤션 이미지, 서비스품질, 지각된 가치, 참가태도, 만족 및 추천의도간의 관계 연구, 서비스경영학회지, 9권 3호(2008), pp.127-150
  9. 안성혜.허영, 국내만화콘텐츠 비즈니스의 확장과 발전방향 조망, 한국콘텐츠학회지, 7권 2호(2007), pp.222-229.
  10. 상승성, "지역축제 브랜드자산의 구성요소가 방문객 관광동기 및 방문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강릉 단오제 방문객을 중심으로", 관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2010).
  11. 신동준, "지역축제 외지 방문객과 지역주민 간의 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 비교연구: 곡성 심청축제를 중심으로", 호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2009).
  12. Aaker, D., Managing brand equity, Simon & Schuster, 1991.
  13. Aaker, D., Building strong brands, Simon & Schuster, 1996.
  14. Hall, C .M., Hallmark tourist events, Belhaven Press, 1992.
  15. Keller, K. L., Strategic brand management, 3rd edition, Prentice Hall, 2008.
  16. Farquhar, P. H., Managing brand equity, Marketing Research, Vol.1, No.1(1989), pp.24-33.
  17. Harrison-Hill,T., "How far is a long way? Contrasting two cultures perspectives of travel distance", Asia Pacific Journal of Marketing and Logistics, Vol.13, No.3(2001), pp.3-17. https://doi.org/10.1108/13555850110764801
  18. Keller, K. L., "Conceptualizing, measuring, and managing customer-based brand equity", Journal of Marketing, Vol.57, No.1(1993), pp.1-22. https://doi.org/10.2307/1252054
  19. Konecnik,M. & Gartner,W. C., "Customer-based brand equity for A destination", Annals of Tourism Research, Vol.34, No.2(2007), pp.400-421. https://doi.org/10.1016/j.annals.2006.10.005
  20. Lassar, Walfried, Banwari Mittal & Arun Sharma, "Measuring customer-based brand equity", Journal of Consumer Marketing, Vol.12 No.4(1995), pp.11-19. https://doi.org/10.1108/07363769510095270
  21. Park, Chan Su & V. Srinivasan, "A survey-based method for measuring and understanding brand equity and its extendibility",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31(May, 1994), pp.271-288. https://doi.org/10.2307/3152199
  22. Stevens, B. F., "Price value perceptions of travelers", Journal of Travel Research, Vol.31, No.2(1992), pp.44-48. https://doi.org/10.1177/004728759203100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