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arine Contents Use and Service Plans for the Educational Purpose

교육용 해양 콘텐츠 활용 및 서비스 방안

  • 윤재홍 (동신대학교 디지털콘텐츠협동연구센터) ;
  • 최효승 (동신대학교 디지털콘텐츠협동연구센터) ;
  • 정승문 (동신대학교 디지털콘텐츠협동연구센터)
  • Received : 2012.01.04
  • Accepted : 2012.02.22
  • Published : 2012.03.28

Abstract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interest in new industry and demand creations by the convergence and integration between IT and infrastructure and BT, NT, and CT and the convergence of IT and spread of cloud computing have changed the IT service environment. Even in the educational field, the convergence and integration of contents with various IT have rapidly emerged and learning equipments for the educational purpose have expanded to the mobile media platform from PCs so that learning without limitations to time, place and equipment has become possible. Contents necessary for the smart education are under way by research development utilizing cyber reality and simulation, and 3D technolog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marine contents use and service plans for the educational purpose in order to produce various types of contents for the marine life and environment, to improve the school achievement by stimulating interest and to provide individually customized learning.

IT와 인프라는 BT, NT, CT 등의 분야와 융 복합을 통해 새로운 산업 및 수요 창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며, 정보기술의 융합화 및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의 확산으로 정보기술 서비스 환경이 변화되고 있다. 교육 분야에서도 다양한 IT 기술을 접목한 융 복합 콘텐츠의 출현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교육용 학습기기가 PC 위주에서 모바일 미디어 플랫폼으로 확장됨에 따라 시간 장소 기기의 제약이없는 학습이 가능해 지고 있다. 스마트 교육에 필요한 콘텐츠는 가상현실 기술과 체감형 시뮬레이션 기술, 3D입체 기술 등을 활용한 연구개발과 다양한 콘텐츠 제작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양 생물 및 환경에 대해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로 제작하고, 흥미 유발을 통한 학업 성취도를 높이고 개별화된 맞춤형 학습을 위한 교육용 해양 콘텐츠의 활용 및 서비스 방안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 인재대국으로 가는길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 교육과학기술부, 2011.
  2. http://www.etnews.com/201111160174
  3. 이준의, 이상원, 이원형, "사진.동영상 콘텐츠의 실시간 입체영상 변환 연구", 한국사진학회지, No.24, pp.121-135, 2011.
  4. 김창식, 기재석, 이종찬 외 17인, 체계운영을 위한 가상해양환경 분석 기술, 한국해양연구원, 과학기술부, 2004.
  5. C. M. Kim, I. C. Kang, E. S. Kim, and B. K. Kim, "Modeling of Physical Characteristics in Virtual Underwater Environment for Sensory Simulation," KISTI-KOCON ICCC2009, Vol.7, No.2, pp.753-757, 2009.
  6. C. H. Kim, I. C. Kang, C. J. Park, N. K. Joo, and B. K. Kim, "A Design of Dynamic Sea Currents Creation for Virtual-Scuba," ICON&APIC-IST 2010, ISSN 2093-0542, pp.137-140, 2010.
  7. Sun-Il Kim, Eun-Seok Kim, Gi-Taek Hur and Im-Chul Kang, "A Design of Sensory Virtual System for Scuba Diving," ICCC 2010, Vol.8, No.2, pp.361-362,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