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무용영재성 판별도구 개발

Development of a Measure for the Dance Giftedness

  • 투고 : 2012.02.02
  • 심사 : 2012.02.27
  • 발행 : 2012.03.28

초록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도출된 무용영재성 구성요인을 바탕으로 무용영재를 판별할 수 있는 구조화된 평가도구를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다. 무용영재의 잠재성을 대변할 수 있는 적합한 문항을 개발하기 위하여 무용영재성 구성요인인 신체적 조건, 동작수행능력, 표현 및 창의성, 무용태도 요인을 바탕으로 초기문항을 개발하였다. 1차 기초조사는 무용을 전공자와 직업무용단 단원 등을 조사 대상자로 선정하여 총 206명에게 실시하였고, 설문조사 결과자료를 바탕으로 기술통계 분석과 신뢰도 분석, 그리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4요인(신체적요인, 표현 및 창의성, 무용태도, 동작수행능력)과 20개의 문항이 선정되었다. 선정된 모형(4개의 구인과 20개의 문항)의 적합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1차 설문조사 대상과는 다른 무용전공생과 직업무용단 단원 등을 선정하여 총 292명에게 2차 기초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자료를 바탕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든 적합도 지수가 기준치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결과를 통해 4요인의 20개인 문항에 대한 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판명되어 최종으로 채택하였다.

Based on the qualitative analysis, 4 factors of dance giftedness were operationally defined and test items were initially developed accordingly. The preliminary test data obtained from 206 dancers was analyzed, using item analysis and a series of reliability analyses. In order to dancer the construct validity, four exploratory factor analyses were conducted for 54 items, resulting in 20 items of 4 factors; physique, dance attitude Expressiveness and creativity, movement ability.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ducted for 292 dancers to test the goodness-of-fit of 4 factor model revealed a satisfactory level of $x^2$, Q, root mean square residual(RMR), goodness of fit index(GFI), Tucker-Lewis index(TLI), comparative fit index(CFI), root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RMSEA). The concurrent and cross validity indices proved the validity of 20 items of 4 factors.

키워드

참고문헌

  1. 조은숙, "발레 영재 판별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3.
  2. 오레지나, 문영, 김윤진, 안문경, 김기웅, "무용영재성의 요인탐색", 한국체육학회지, 제44권, 제4호, pp.745-752, 2005.
  3. 이진효, 박현정, 이진희 "무용영재성 구성요인에 관한 경험적 탐색, 한국무용기록학회지, 제23권, pp.83-98, 2011.
  4. J. S. Renzulli, "What makes giftedness?," Reexamining of defintion Phi Delta Kappen, Vol.60, pp.180-184, 1978.
  5. 권성호, "운동몰입의 구성개념과 척도개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6. 탁진국, "심리검사: 개발과 평가방법의 이해", 서울: 학지사, 2007.
  7. 박현정, "무용수의 정서표현성 본질에 관한 경험적 탐색", 대한무용학회지, 제57권, pp.102-118, 2008.
  8. 이진효, 이지연, 김현남, "무용영재성 구성요인 및 평기기준 분석", 한국예술교육학회지, 제9권, 제2 호, pp.77-94, 2011.
  9. 김대권, 배귀영, "우수발레무용수의 형태학적 특성 및 비율", 경남체육연구, 제9권, pp.79-90, 2004.
  10. 조주연, "발레 영재성 구성요인의 탐색연구",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제18권, 제1호, pp.15-31, 2007.
  11. S. J. Parnes, "Visionizing: State of the art processes for encouraging innovative excellene," East Aurora, NY: K.O.K, 1989.
  12. 원영실, "음악(국악) 영재 판별을 위한 부모관찰 정보지의 문항개발 및 적용", 음악교육연구학회지, 제40권, 제1호, pp.241-273, 2011.
  13. L. M. Tenman and M. H. Odenm, "Genetic studies of genius: Vol.5." The Gifted group at midlife: Thirty-five years'follow-up of a superior group. Stanford,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1959.
  14. 유진, 정꽃님, "무용 열정의 이원론적 모형분석", 한국스프초심리학회지, 제19권, 제1호, pp.63-175, 2008.
  15. 조영주, 정유영, 이강헌, "무용수행의 심리적 요인 탐색", 무용예술학연구, 제21권, pp.151-174, 2007.
  16. 전은진, "무용동작 기술성의 구성요인",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17. 안영진, "종일제 유아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 프로젝트 스펙트럼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제10권, 제2호, pp.5-37,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