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character create of Animation

애니메이션 캐릭터 설정 요소 분석

  • 임운주 (홍익대학교 애니메이션학과)
  • Received : 2012.12.01
  • Accepted : 2012.12.20
  • Published : 2012.12.31

Abstract

This research has chosen the animation character creation as a part of research for effective communication with audience due to the character taste getting diversity. The way of characters creation in this research suggest as follows. First, animation character action and a way of thinking, which makes regulation factor is a global outlook. It expresses a outer factors include appearance, style, action, facial expressions, tone of voice, hobbies, occupation, status and internal factors shows nature, conception, culture. Second, the given condition of general tendency of animation character, Cultural background, and Key characteristics and experiences is built up by global outlook. Third, the attractive of animation character show up the familiarity, originality, fun, various senses, and flexibility. Fourth, it is harmony of new global outlook and character. The establishment of animation character is that the familiarity which is easy approach to audience with special global outlook, the originality which is different from other works, fun with laugh, at different times in different ways to interact with more flexibility, various sense to be delivered to audience for easy setting is the most desirable.

본 연구는 애니메이션 캐릭터 기호가 점점 다양하게 진행됨에 따라 관객과의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애니메이션 캐릭터는 영화의 주인공이 되어 전체의 분위기를 이끌어 간다. 캐릭터는 작품 속에서 자신의 행동과 사고 방식을 표현함으로써 관객에게 어필한다. 캐릭터가 어떤 유전적인 요인과 환경적인 요인에 대한 영향을 받는가에 대한 것은 내러티브와 전체적인 세계관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새로운 세계에서 어떤 신체적 특성, 어휘, 말투, 버릇, 액션, 성격을 가지고 있느냐에 따라서 캐릭터는 더욱 확실하고 쉽게 관객에게 전달된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새로운 세계관 속에서 사물을 판단하고 행동하는 캐릭터의 외모와 성격을 잘 나타내는데 필요한 요인은 무엇인지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 결과, 캐릭터의 설정 방법은 첫째,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행동과 사고방식을 규정 요인은 세계관에 있다. 그것을 표현하는 외면적 성격요소로는 용모, 스타일, 행위, 표정, 말투, 취미, 직업, 지위가 있으며 내면적 요소는 기질, 사상, 교양을 나타낸다. 둘째,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일반적인 성향들, 문화적 배경, 핵심 특성과 경험 등을 주어진 조건, 즉 세계관에 의하여 형성된다. 그 기질은 외향/내향, 직관/감각, 사고/감정, 판단/지각으로 나타난다. 셋째,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매력은 친근함(familiarity), 독창성(originality), 유머(fan), 다성적 감각, 유연성으로 나타난다. 넷째, 새로운 세계관과 캐릭터의 조화이다. 새로운 세계관에 맞게 설정된 캐릭터는 애니메이션의 재미와 완성도를 더해 주지만 그렇지 못한 캐릭터는 내러티브의 흐름을 방해하는 요소가 되기도 한다는 결과를 볼 수 있다.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설정은 독특한 세계관을 관객에게 다가가기 쉬운 친근함(familiarity)과 다른 작품과의 차별화 되는 독창성(originality), 웃음을 선사하는 유머(fan)와 서로 다른 시간에 서로 다른 방식으로 상호작용 다성적 감각을 보다 유연하게 관객에게 전달되기 쉬운 설정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