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건설에 대한 검토와 대안의 모색

Consideration for Construction of Sejong City and Alternative

  • Kwon, Ohyeok (Division of Economic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2.11.17
  • 심사 : 2012.12.04
  • 발행 : 2012.12.31

초록

이 논문은 세종시 건설에 대한 쟁점과 문제점들을 살펴보고 그것의 대안으로서 신행정수도로의 전환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신행정수도로의 전환의 타당성을 행정중심복합도시와 비교, 검토하였다. 현재 추진되고 있는 행정중심복합도시의 경우 행정기능의 지리적 분리로 인한 정부기능의 비효율화를 초래할 뿐 아니라 수도권 분산 효과도 제한될 전망이다. 이에 대해 행정수도 이전은 비수도권 지역에 정치행정의 중심 거점을 창출함으로써 수도권 집중을 억제하는 효과를 발휘할 것이며, 정부 기능이 공간적으로 집적된 정치행정클러스터를 구축함으로써 기능적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더하여 신행정수도의 위치를 현재의 세종시에서 KTX의 분기점이 될 오송으로 이전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신중히 검토할 필요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This paper includes consideration for construction of Sejong City and seeking its alternative. Korean government has gone ahead with the relocation of 35 ministries of central government from Seoul metropolitan area to Sejong city for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But many specialists are worried about the spatial division of government function because such a spatial division would bring down the functional efficiency of central government. This paper proposes to make Sejong city the administrative capital city instead of the relocation of some ministries to Sejong city, and discusses the necessity and appropriateness to develop Sejong city as an administrative capital cit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