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orrelations Between Job-Stress And Job-Relation Feature in Occupational Therapist Working in Nursing Home Facility

노인요양시설에 근무하는 작업치료사의 근무관련 특성과 직무스트레스와 상관성 연구

  • Choi, Jeong-Sil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hungBuk Health & Science Univ.) ;
  • Song, Byung-Nam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hungBuk Health & Science Univ.)
  • 최정실 (충북보건과학대학교 작업치료과) ;
  • 송병남 (충북보건과학대학교 작업치료과)
  • Received : 2012.10.31
  • Accepted : 2012.11.23
  • Published : 2012.11.30

Abstract

Objective : This study investigates correlations between job-stress and job-relation feture in occupational therapists in nursing home. Method : For this study, self-reporte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by online and offline survey to 237 occupational therapist from May to June in 2012. Fifty two of the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acceptable 46 survey responses were analyzed, expect 6 unclearly answered. Result : The results correlations between the 6 job-stress factors(confliction of professional role, lack of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s, problem of personal relationship, disagreement with predecessor(manager, chief, etc), limitation of medical system, inappropriate salary) and 4 job-relation feature(period of job, annual salary, work out of therapy, job stability). Conclusion : This study demonstrates correlations between job-stress factors and job-relation feature in occupational therapist working in nursing home. Job-stress average 3.52points of 5points contributes more affecting the stress. Further research is necessary to more sample occupational therapist in nursing home.

목적 :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에서 근무하는 작업치료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근무관련 특성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봄으로써 향후 스트레스를 측정하고 관리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의 대상은 노인요양시설에서 근무하고 있는 작업치료사로서 2012년 5월 12일부터 6월 30일까지 온라인과 오프라인 설문방법으로 총 46부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직무스트레스 8개 요인 중 전문직으로서의 갈등, 전문지식과 기술의 부족, 대인관계상의 문제, 상사(국장, 과장 등)와의 관계 및 업무상 갈등, 치료의 한계에 대한 심적 부담, 부적절한 대우 및 보상 등 6개 요인이 근무연수, 보수총액, 치료 외 근무, 직장의 안정성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결론 :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에서 근무하는 작업치료사들의 직무스트레스와 그 요인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직무스트레스 요인 평균은 3.52점으로 높은 수준이었으며, 스트레스 수준을 낮추기 위해 작업치료사들을 대상으로 꾸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