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n Preference of Interior Coordination Elements for Urban Small Housing - Focused on Gold-Generation(Gold Miss, Gold Mr.) -

도시형 소형주택의 실내코디네이션 요소 선호 분석 - 골드세대(골드미스, 골드미스터) 수요자를 중심으로 -

  • 김소희 (상명대학교 디자인대학) ;
  • 한영호 (상명대학교 디자인대학 실내디자인전공)
  • Received : 2012.07.02
  • Accepted : 2012.10.12
  • Published : 2012.10.31

Abstract

As changed population structure variously, population decrease is one of the important problem in present urbanization. It resulted decline of the medium-large size housings that increasing of 1-2 person household need the variety of small housing with housing type. This study was researched the Gold-Generation on theme by Gold Miss, Gold Mr. who preferring urban small housings that it analyzed survey of Gold generation who be wanted urban small housing by interior coordination elements. Data to be analyzed that first, Gold Mr. and Miss are preferred two bedroom applied by spatial structure coordination. Especially it is based on the separation between livingroom and bedroom with duplex type which is bathroom formed single unit type(shower/toilet/basin). In interior coordination of spatial elements, Gold Mr. considered the form of kitchen with huge ㄷ type instead of Gold Miss are preferred alpha room or alpha space to use powder room or dress room. Second, In Preference of interior coordination elements, Gold Mr. and Miss are preferred bed-clothes and curtains by fabrics, lighting are hanging and spot lighting, accessories are carpet with rug and porcelains. Color are preferred bright scheme both white and ivory, however preference of furniture is different from Gold Mr. and Gold Miss that Gold Mr. are ordered desk, sofa and shelves but Gold Miss are preferred sofa, bed, and dressing table. It showed between Gold Mr. and Gold Miss are equal needs or differences. It expects the basic research for understanding the interior coordination elements for preference in urban small housing as focused on Gold generation(Gold Miss, Gold Mr.) that they will be applied the interior space on urban small housing.

Keywords

References

  1. 김민주.김정원.이정아.이재구, 키워드로 읽는 오늘의 세상 2011 트렌드키워드, 미래의창, 서울, 2010
  2. 강민영, 모델하우스에서의 디스플레이 디자인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석사논문, 2008
  3. 김소희, 실내디자인 스타일 유형화에 따른 주거 코디네이트 연출방법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석사논문, 2009
  4. 김현주, 모델하우스에 나타나는 홈인테리어 오브제 연출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석사논문, 2008
  5. 박미경, 주거 공간 코디네이션에 대한 연구-아파트단위세대 연출을 중심으로, 경성대학교 석사논문, 2009
  6. 박민서, 디자인 호텔 실내코디네이션 표현방법에 관한 연구 혼성적 개념을 반영한 객실공간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석사논문, 2009
  7. 백진영, 브랜드 아파트 모델하우스의 인테리어 코디네이션 특성에 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논문, 2010
  8. 신수현, 국내 특급호텔의 웨딩 공간 인테리어 코디네이트 특성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석사논문, 2008
  9. 이미연, 국내 주상복합 아파트의 인테리어 코디네이트 연출사례 분석에 대한 연구-중대형 평형 거실공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석사논문, 2010
  10. 이지영, 주거 공간 인테리어 코디네이트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논문, 2003
  11. 김지은, 실내 코디네이션에대한 연구경향 분석, 한국 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문집 제13권 1호, 2011
  12. 변미리.신상영.조권중, 서울의 1인 가구증가와 도시정책, 개발연구원, 2008
  13. 서민우.한영호, 강소주택 실효성 논의를 위한 일본 소형주택 공간사례분석,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1권 1호 2012
  14. 유연숙.이선민, 기호체계에 의한 인테리어코디네이션 트렌드 분석,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 20권 1호 통권84호, 2011
  15. 시정개발연구원, 저가.소형주택 멸실 및 수요판단에 관한 연구, 2007
  16. 주택법 제2조 제3항
  17. 한국고용정보원, 고학력전문직 미혼남녀의 취업구조 분석 및 정책적 시사점, 2009
  18. 2009년도 주택업무 편람(국토해양부)
  19. 국토해양부, http://www.mltm.go.kr
  20. 서울시, http://www.i-sh.co.kr
  21. 통계청, http://www.kostat.go.kr
  22. http://terms.naver.com/골드미스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