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Analysis of the Municipal Color Design Guidelines

지방자치단체의 색채가이드라인 구성 내용 실태

  • 김정근 (울산대학교 생활과학부 주거환경학과) ;
  • 김아람 (울산대학교 생활과학부 주거환경학과)
  • Received : 2012.08.30
  • Accepted : 2012.10.12
  • Published : 2012.10.31

Abstract

As the competition of city design from various municipals recently, color guidelines are continuously established. But the contents of color guidelines are differing from one municipal to the other, It has doubts on its effectiveness. Thus,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is to investigate municipals' color guidelines in order to apprehend the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among each other. In order to do this, the research will collect color guidelines of 5 different cities and 2 different districts. Then, by organizing tables for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contents, the research will attempt to identify the difference between municipals. The conclusion of such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basic contents of color guidelines are composed with planning, proposing and managing stages. Furthermore its objective, target subject, detailed guidelines and exemplary cases were common. Second, the contents of color guidelines of municipals were vastly differing from each other in respect to the size of the cities or the objectives of its application. Third, color guideline contents of the city of Seoul, Sejong city, and Chung-ra district are composed rather reliably while that of the city of Inchun, and Sung-buk district were lacking considerably in terms of up-to-date survey of environment, color proposal, and managing policy in comparison to other municipals. In conclusion, there is a strong necessity for standardization of establishment or form of the color guidelines. Furthermore, measures for proper adjustment in respect to the size of a municipal or its purpose should be arranged adequately.

Keywords

References

  1. 김대수, 도시경관의 통합적 개선을 위한 색채관리 제도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003
  2. 김윤희, 지역경관 아이덴티티를 위한 환경 색채 가이드라인 개발에 관한 연구, 동서대학교 디자인&IT 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3. 김진진, 경관색채 가이드라인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4. 박희경, 삼청동 지역색 분석을 통한 도시 이미지 색채가이드라인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5. 배용진, 건축문화재 주변 상업지구의 색채가이드라인에 관한연구, 홍익대학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6. 이석현, 경관색채계획의 이론과 실천, 미세움, 2008
  7. 이석현, 도시경관개선을 위한 환경색채가이드라인 적용에 따른 효과요인 평가, 디자인학연구 통권 제90호 Vol. 23 No.4
  8. 이현수, 도시색채 이야기, 도서출판 선, 2007
  9. 지윤정, 도시수변공간의 색채가이드라인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10. 최은영, 아파트 색채가이드라인의 효용성 제고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9
  11. 대전광역시, 대전 도시환경색채 기본계획, 2009
  12.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도시색채계획, 2010
  13. 서울시, 일본의 경관색채 가이드라, 디자인총괄본부, 2008
  14. 서울특별시, 서울상징색 적용 가이드라인, 2008
  15. 서울특별시, 서울색정립 및 체계화 연구보고서, 2008
  16. 성북구, 성북구 색채계획, 2010
  17. 세종시, 행정중심복합도시 도시환경색채 가이드라인, 2007
  18. 울산시, 울산광역시 경관계획, 2010
  19. 인천시, 인천광역시 도시경간 가이드라인, 2008
  20. 청라지구, 청라지구 도시색채 가이드라인,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