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Network Planning on the Open Spaces in Geumho-dong, Seoul

서울 금호동 오픈스페이스 네트워크 계획

  • Kang, Yon-Ju (URIEN Design Firm, Co., Ltd.) ;
  • Pae, Jeong-Han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Rural Systems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 강연주 ((주)우리엔디자인펌) ;
  • 배정한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 Received : 2012.09.18
  • Accepted : 2012.10.25
  • Published : 2012.10.31

Abstract

Geumho-dong, Seoul, a redeveloped residential area, is located in the foothills of Mt. Eungbong. The geographical undulation, the composition of a large apartment complex, and the partial implementation of the redevelopment project have caused the severe physical and social disconnections in this area. In order to recover functioning in the disconnected community,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regeneration of the open spaces as an everyday place and in the form a network system among those open spaces. Various types of the open spaces are classified into points or faces, 'bases' and linear 'paths' analyze the network status. More than half of the open space have connecting-distance of 500m or more. Furthermore, many areas are not even included in the service-area of the open spaces. Analysis of the connectivity and integration value using the axial map has carried out to check weak linkages and to choose the sections where additional bases are required. In addi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bases and the paths, a field investigation is conducted and problems are diagnosed. The network planning of the open spaces in Geumho-dong is established, ensuring the quality and quantity of bases and paths. The plan includes the construction of an additional major base in the central area and six secondary bases in other parts, and comes up with ways to improve the environment of underdeveloped secondary bases. In the neighborhood parks at Mt. Daehyun areas, the major path are added, and the environment of the paths is improved in certain areas. Because of the network planning, the connecting-distances between bases are reduced significantly, the connectivity and integration value of the area are increased, and the service areas of the open spaces cover the whole area properly. Although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s such as the needs for the legal and institutional supports and difficulties of a quantitative indexing process, its significance lies in the suggestion of a more reasonable and practical plan for the overall network system by defining complex types of open spaces simply and clearly and by examining the organic relationships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서울 금호동은 응봉의 산자락에 위치한 재개발 주거지역으로, 지형적 문제와 대규모 아파트단지의 조성, 부분적인 재개발사업의 시행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주민들의 물리적, 사회적 단절이 심각한 곳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금호동의 단절된 커뮤니티를 회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일상적 장소인 오픈스페이스의 기능과 이의 원활한 네트워크의 가능성에 주목하고자 한다. 연구를 위하여 우선 다양한 유형의 오픈스페이스를 점 또는 면적인 '거점'과 선적인 '통로'로 단순화하여 구분하고, 전체적인 맥락에서 네트워크 현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거점과 통로의 연결거리가 500m 이상인 구간이 전체의 반수 이상을 차지했으며, 유치권 안에 포함되지 않은 지역도 다수 나타났다. 축선도에 의한 연결도와 통합도 분석을 통해 연계가 취약한 구간을 점검하였으며, 추가로 거점이 필요한 구간도 산정하였다. 또한 거점과 통로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 현장 조사를 실시, 문제점을 진단하고 해결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이상의 분석 결과들을 바탕으로 거점과 통로의 수적, 질적인 확보를 위한 금호동의 오픈스페이스 네트워크 계획을 수립하였다. 대상지 중심부에 주요 거점을 추가하고 6개의 보조 거점도 신규로 설치하였으며, 낙후된 보조 거점의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였다. 또한 연계가 힘든 대현산지역 근린공원 주변에 연결 통로를 확보하여 주요 통로로 기능하게 하고, 일부 구간을 중심으로 통로의 환경이 개선되도록 하였다. 네트워크 계획의 결과, 연결거리는 상당부분 줄어들었고, 연결도와 통합도는 증가하였으며, 유치권도 적절하게 확보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네트워크를 위한 법적, 제도적 뒷받침과 정량적인 지표화 과정 등의 한계점을 가지나, 복잡한 오픈스페이스의 유형을 단순하고 명확하게 정립하고, 이의 유기적인 관계를 정량적, 정성적으로 조명함으로써 전체적인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보다 합리적이고 실질적인 계획 방향을 제안하였다는 점에 그 의의를 갖는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연주, 박종완, 임승빈(2009) 공동주택 중앙광장의 개방 구조에 따른 지역 공동체의식의 차이. 한국조경학회지 37(3): 21-32.
  2. 김민규, 임경화, 김영욱, 박영기(2001) 상암 지구의 도로 이용성과 지구 활용성 분석에 대한 연구: 공간 구문(Space Syntax)방법론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지 17(9): 227-234.
  3. 김정규(2011) 안양시의 도시공원.녹지 접근성 모델에 관한 연구: 공간 구문론과 심리적모델의 통합. 성균관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77
  4. 남용훈, 신중진(2005) 커뮤니티 개념을 고려한 아파트 계획기법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 6(3): 5-18.
  5. 류연수, 이현택, 나정화(2007) 도시공원의 연결성, 순환성 및 고립도 분석에 따른 경관생태학적 개선방안.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10(6): 15-32.
  6. 류중석(2002) 수도권 신도시를 위한 새로운 계획기법의 모색. 한국도시 설계학회 2002년도 추계 심포지움.
  7. 사공정희, 나정화, 조현주(2007) 공원녹지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추가녹지 조성 우선순위 선정. 한국조경학회지 34(6): 10-21.
  8. 서울시정개발연구원(2006) 2020년 서울도시기본계획. 서울: 서울시정개발연구원.
  9. 신종범(2004) 도시 녹지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공원녹지체계 개선에 관한 연구: 성남시를 사례로. 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신중진, 김희경(2008) 주변지역과의 연계를 고려한 공동주택 계획기법연구: 공동주택개발방식 주거환경개선사업 현상설계 당선안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4(3): 61-68.
  11. 이규목(1990) 제2의 오픈스페이스 유형과 사회적 공간으로서의 장소성. 한국조경학회지 18(3): 192-193.
  12. 최두호, 이주형(2006) 도시조직과의 연계성 확보를 위한 공동주택 계획기법에 관한 연구: 강일2지구 공동 주택 현상안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 주거학회 논문집 17(6): 149-157.
  13. Bafna, S.(2003) Space syntax: A brief introduction to its logic analytical techniques. Environment and Behavior 1: 17-29.
  14. Bovasso(1992) A structural analysis of the formation of a network organization. Group & Organization Management 17(1): 86-106. https://doi.org/10.1177/1059601192171007
  15. Capello, R.(2000) The city network paradigm: Measuring urban network externalities. Urban Studies 37(11).
  16. Hillier, Bill(1996) Space is the Machine. Cambridge University Press/ Bartlett School of Architecture and Planning University College London.
  17. Howitt, R(2002) Scale and the other: Levinas and geography. Geoforum 33(3): 299-313. https://doi.org/10.1016/S0016-7185(02)00006-4
  18. Opdam, P., E. Steingrover and S. V. Rooij(2006) Ecological networks: A spatial concept for multi-actor planning of sustainable landscape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75: 322-332. https://doi.org/10.1016/j.landurbplan.2005.02.015
  19. Ozdemir, Aydin(2007) Urban sustainability and open space networks. Journal of Applied Science 7(23): 3713-3720. https://doi.org/10.3923/jas.2007.3713.3720
  20. Penn, A., B. Banister Hillier and D. J. Xu(1998) Configurational modeling of urban movement networks. Environment and Planning B: Planning and Design 25: 59-84. https://doi.org/10.1068/b250059
  21. Schaefer, Valentin(2003) Green links and urban biodiversity - An Experiment in connectivity. Puget Sound Research Conference.
  22. Thompson, C. W.(2002) Urban open space in the 21st century.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60: 59-72. https://doi.org/10.1016/S0169-2046(02)00059-2
  23. Vog, C. A. and R., W. Marrans(2003) Open space neighborhoods: Residents' views on new forms of development. Journal of Park and Recreation Administration 21(4): 50-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