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삼투여가 고지방식이로 유발된 비만형 당뇨병 동물모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alvia miltiorrhiza on High Fat Diet-induced Obese Diabetic Mouse Model

  • 최선욱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동훈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최승범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박근희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사상의학교실) ;
  • 김용성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Choi, Seon-Wook (Dept. of internal Medicine of Oriental Medicine, Dong-Shin University) ;
  • Kim, Dong-Hoon (Dept. of internal Medicine of Oriental Medicine, Dong-Shin University) ;
  • Choi, Seung-Bum (Dept. of internal Medicine of Oriental Medicine, Dong-Shin University) ;
  • Park, Geun-Hee (Dept.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of Oriental Medicine, Dong-Shin University) ;
  • Kim, Young-Seung (Dept. of internal Medicine of Oriental Medicine, Dong-Shin University)
  • 발행 : 2012.12.30

초록

Objectives : Obesity is an important cause of diabetes, and lipotoxicity causes insulin resistanc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alvia miltiorrhiza on high fat diet-induced obese type 2 diabetic mouse models. Methods : Diabetes was induced in ICR male mouse (23~25 g) with Surwit's high fat, high sucrose diet. Mice were divided into 4 groups (n=10) of normal, control, Salvia miltiorrhiza, and metformin. After 8 weeks, body weight, OGTT, fructosamine, lipid profile, serum level of adiponectin and leptin, epididymal fat pad, liver weight and epididymal adipocyte size were measured. Results : Salvia miltiorrhiza significantly reduced oral glucose tolerance levels, fructosamine serum level, epididymal fat weight, and epididymal adipocyte size. Salvia miltiorrhiza also increased HDL-cholesterol, adiponectin and leptin serum levels. Conclusions : These results show that Salvia miltiorrhiza improves insulin resistance. Therefore we suggest that Salvia miltiorrhiza would be an effective treatment for obese type 2 diabetic patients.

키워드

참고문헌

  1. 전국 한의과대학 신계내과학교실. 신계내과학. 서울: 군자출판사; 2011, p. 300-8.
  2. Stumvoll M, Goldstein BJ, van Haeften TW. Type 2 diabetes : principles of pathogenesis and therapy. The Lancet 2005;365(9467):1333-46. https://doi.org/10.1016/S0140-6736(05)61032-X
  3. Yamauchi T, Kamon J, Waki H, Terauchi Y, Kubota N, Hara K, et al. The fat derived hormone adiponectin reverses insulin resistance associated with both lipoatrophy and obesity. Nat Med 2001;7(8):941-6. https://doi.org/10.1038/90984
  4. Georgy A. Bray. 비만치료의 최신지견. 서울: 도서출판 한미의학; 2005, p. 55, 235-53.
  5. 서순규. 成人病.老人病學. 서울: 도서출판 고려의학; 1995, p. 590.
  6. 대한가정의학회. 최신가정의학. 서울: 한국의학; 2007, p. 870-9.
  7. 박종설, 이병철, 두호경, 안영민, 안세영. 수풍순기환 투여가 고지방 고탄수화물 식이로 유발된 비만형 제2형 당뇨병 동물 모델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9:30(2):257-69.
  8. 박은영, 안세영, 안영민, 엄재영, 장형진, 이병철. 수풍순기환 분할처방 투여가 고지방, 고탄수화물 식이로 유발된 비만형 제2형 당뇨병 동물 모델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11; 32(3):387-96.
  9. 송상열, 안세영, 안영민, 엄재영, 장형진, 이병철. 搜風順氣丸加減方투여가 비만형 제2형 당뇨병 동물 모델의 당대사 및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의학회지 2011;32(5):1-11.
  10. 김재연, 최승범, 한양희, 김동훈. 白殭蠶이 비만 형 당뇨병 동물모델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12;spr:117-27.
  11. 두호경. 동의신계학(하). 서울: 성보사; 2006,p. 1131.
  12. 강경원, 문진석, 강병갑, 김보영, 신미숙, 최선미. 한방비만변증 설문지를 바탕으로 증상 척도에 따른 변증진단 비교. 한방비만학회지 2009;9(1) :37-44.
  13. 한의과대학 본초학 편찬위원회. 본초학. 서울: 영림사; 2004, p. 461.
  14. 한완수. 단삼으로부터 항균물질의 분리. 한국약용작물학회지 2004;12(3):179-82.
  15. 김선영, 문태철, 장현욱, 손건호, 강삼식, 김현 표. 단삼으로부터 분리한 탄시논 1이 아라키돈산 대사 및 항염증 반응에 미치는 영향. 영남 대학교 약품개발연구소 연구업적집 2003;13(0) :11-5.
  16. 손윤희, 조현정, 김미경, 정은정, 남경수. 단삼에 탄올추출물이 유방암 예방 및 전이에 미치는 영향. 생약학회지 2007;38(1):62-6.
  17. 이종화, 이병찬, 박승택, 이정헌, 이강창, 서부일, 등. 단삼이 활성산소롤 손상된 배양 심근세포에 미치는 영향. 대한본초학회지 2003;18(3) :21-5.
  18. 김상희, 정현국, 이호섭. 단삼약침의 자연발증 고혈압 백서 혈압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1999;16(2):349-54.
  19. 김형철, 김형우, 조수인, 김용성, 이장식, 권정남, 등. 단삼이 고지혈증 흰쥐의 혈중 지질 변화에 미치는 영향. 대한본초학회지 2007;22(4) :239-45.
  20. 이건목, 이길숭. CPs(단삼, 삼칠, 빙편 복합제)가 고지혈증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의학회지 2004;25(2):22-32.
  21. 김민수, 서일복, 김정범. 단삼이 흰쥐의 식이성 고지혈증에 미치는 영향.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4;18(2):431-5.
  22. 대한비만학회. 임상비만학. 서울: 도서출판 고려의학; 2001, p. 127-8.
  23. 신순현 역. 오늘의 진단 및 치료. 서울: 한우리; 2000, p. 1252-6.
  24. 강석봉. 消渴의 전변증과 糖尿病의 만성 합병증 에 대한 비교 고찰. 대한한의학회지 1998;19 :137-52.
  25. 박찬국 역. 懸吐國譯 黃帝內經素問注釋. 파주: 집문당; 2005, p. 547, 709, 802.
  26. 강병갑, 문진석, 최선미. 비만변증 설문지에 대한 신뢰도 분석.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2007; 13(1):109-14.
  27. 蔣森. 血瘀論. 北京: 中國醫藥科技出版社; 2001, p. 39-40.
  28. 대한일차의료학회편. 개원의를 위한 일차진료 지침. 서울: 한우리; 2003, p. 238.
  29. 대한가정의학회. 최신가정의학. 서울: 한국의학; 2007, p. 870-9.
  30. 김희진. What Is the Most Useful Lipid Measure in Identifying Metabolic Syndrome and Insulin Resistance?. 학위논문(박사). 이화여자대학교의 학과 대학원; 2009, p. 28.
  31. Otto TC, Lane MD. Adipose development: from stem cell to adipocyte. CritRev Biochem Mol Biol 2005;40(4):229-42. https://doi.org/10.1080/10409230591008189
  32. 조진경, 김남훈, 오미경. 3T3 - L1 지방전구세포에서 합토글로빈에 의한 염증성 cytokine 발현조절. 생명과학회지 2008;18(4):537-41.
  33. 대한당뇨병학회. 당뇨병학. 서울: 도서출판 고려의학; 2005, p. 47, 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