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정신신체의학)
- Volume 20 Issue 2
- /
- Pages.127-134
- /
- 2012
- /
- 1225-6471(pISSN)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Studies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erceived Stress Scale
한글판 스트레스 자각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연구
- Lee, Jongha (Department of Psychiatry,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Shin, Cheolmin (Department of Psychiatry,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o, Young-Hoon (Department of Psychiatry,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im, JaeHyung (Department of Psychiatry,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Joe, Sook-Haeng (Department of Psychiatry,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SeungHyun (Department of Psychiatry,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Jung, In-Kwa (Department of Psychiatry,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Han, Changsu (Department of Psychiatry,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이종하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 신철민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 고영훈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 임재형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 조숙행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 김승현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 정인과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 한창수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Received : 2012.06.21
- Accepted : 2012.08.15
- Published : 2012.12.31
Abstract
Objectives : Perceived stress scale is a self-report inventory to estimate the degree of individual perceived stress in daily lif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this scale and tes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PSS. Methods : The total of 154 female hospital worker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survey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for demographic information. All participants were required to complete PSS, Hamilton Anxiety scale and Beck Depression Inventory. Reliability and validity studies were conducted and internal consistency was examined. Results : The mean score of the PSS reported in this sample was
연구목적 : 스트레스 자각척도는 일상 생활에서 주관적으로 느끼는 스트레스의 정도를 평가하는 척도이다. 본 연구는 한글판 스트레스 자각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평가하고 척도를 이용하여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여성들의 스트레스 정도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방 법 : 종합병원 근무 여성들을 대상으로 주사바늘 자상을 입은 전후로 한글판 스트레스 자각척도, 해밀턴 불안 척도, 벡 우울 척도를 실시하여 스트레스 및 불안, 우울 정도를 평가하였다. 내적 일치도와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통해 척도의 신뢰도를 평가하였으며, 타 척도와의 상관관계분석을 통해 공존 타당도를 평가하였다. 척도의 요인구조는 탐색적 요인분석을 시행하여 확인하였다. 결 과 : 연구 참여자 중 총 154명이 연구 절차를 완료하여 최종 분석에 포함되었으며, 이들의 스트레스 자각척도의 평균 점수는 20.69(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