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nging Trends in the Occurrence and Management of Delirium for 5 Years in a University Hospital

일 대학병원에서 5개년간 섬망의 발생 및 치료 경향의 변화

  • Bae, Jae Ho (Depatrment of Neuro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
  • Kang, Won Sub (Depatrment of Neuro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
  • Paik, Jong Woo (Depatrment of Neuro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
  • Kim, Jong Woo (Depatrment of Neuro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 배재호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 강원섭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 백종우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 김종우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Received : 2012.09.26
  • Accepted : 2012.10.19
  • Published : 2012.12.31

Abstract

Objectives : Delirium is a disorder defined as a sudden disturbance in thinking, speaking, acting and sleep pattern due to altered level of consciousness and cognitive func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haracteristics and therapeutic methods of the delirious patients during the recent 5 years, and provide basic data for further studies and investigation regarding delirium in the occurrence and treatment. Methods : We retrospectively reviewed medical records of 475 patients who were consulted for delirium in Kyunghee University Medical Center from January 2007 to December 2011. Results : During the 5 years, among the 475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delirium, men were more common(61.7%). The most commonly consulted reason and cause were sleep disturbance(80.8%) and post-operational delirium(30.9%), respectively. The medication prescription percentage was 76.6% and was significantly increased year after year. Ratio of using antipsychotics were 76.4% among prescribed medication and the most frequently prescribed antipsychotic drug was quetiapine(46.8%). Other specialists commonly misdiagnosed delirium when the patient was previously diagnosed as dementia(6.8%). Conclusions : In our study, post-operational delirium was the most commonly referred reason and the percentage of medication prescription tended to increase. Patients with history of dementia were more easily misdiagnosed as diseases other than delirium. Our study suggests that we should evaluate symptoms, causes, reasons of consultation, management tendency of delirium. We should also closely observe changes in sleep patterns and establish the prevention strategies for post-operational delirium and therapeutic bases for pharmacotherapy.

연구목적 : 섬망은 의식 수준과 인지기능 변화로 인해 사고, 언어, 행동, 수면 양상 등에 갑작스러운 지장을 초래하는 장애로 정의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5개년간 일 대학병원의 정신과로 자문 의뢰된 섬망 환자들의 특성과 치료 방법을 분석하여 향후 섬망 연구에 있어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섬망의 발생과 치료에 변화가 있었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방 법 : 2007년 1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서울 회기동 소재의 경희대학교 병원에서 정신과로 자문 의뢰된 환자를 대상으로 섬망으로 진단된 475명의 환자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환자의 성별, 연령, 의뢰과, 의뢰 이유, 섬망의 원인, 섬망의 분류, 의뢰의의 오진율, 치료 방법, 처방 약물 종류 등을 조사 및 분석하였다. 결 과 : 5년간 섬망으로 진단된 475명의 환자 중 남성이 61.7%로 여성보다 더 많았다. 섬망 환자를 정신과로 의뢰하게 된 이유는 수면 장애가 80.8%로 가장 많았고 섬망이 발생한 원인으로는 수술 후 섬망이 30.9%로 가장 많았다. 전체 치료 건수 중 약물 처방이 76.6%이었으며 연도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약물 처방 건수 중 항정신병 약물의 사용 빈도는 76.4%였으며 항정신병 약물중 Quetiapine의 사용 비율이 46.8%으로 가장 높았다. 그리고 타과 의뢰의가 섬망의 진단을 놓치게 된 이유는 환자가 이전에 치매를 진단받았을 경우가 6.8%로 가장 많았다. 결 론 : 근 5개년간 일 종합병원에서 정신과로 의뢰되는 섬망은 수술 후 발생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약물 처방율이 높아지는 추세였다. 환자에게 이전 치매 병력이 있을 경우 섬망이 아닌 다른 질환으로 오진되기 쉬웠다. 본 연구를 통해 섬망의 임상 증상 및 원인, 의뢰 이유, 치료 경향에 대해 평가하고, 수면 주기의 변화에 대한 주의를 기울이며, 수술 후 섬망에 대한 예방전략 수립 및 약물 치료에 따른 치료 근거를 확립하는데 의의를 둘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