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거푸집 공사의 생산성 분석을 통한 작업조 기반의 Cost Data Prototype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Cost Data Prototype based on Production Crew by Productivity Analysis of Form Work

  • 강동완 ((주)정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
  • 지성민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
  • 현창택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 투고 : 2011.06.03
  • 심사 : 2011.10.18
  • 발행 : 2012.01.31

초록

합리적인 방법에 의해 결정된 건설 공사비를 포함하여 계약을 체결하는 것은 공공 건설공사의 사업비 관리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국내에서는 건설 공사비를 산정하는 기준으로 표준품셈이 사용되고 있지만, 표준품셈에서 제시하는 품의 적정성에 대해서 문제가 제기되고 있으며, 현장의 자원 투입량과 품셈에서 제시하는 자원 투입량의 차이로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공사비를 산정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건설 공사비를 합리적으로 산정하기 위하여, 공동주택 거푸집 공사의 생산성 분석을 통한 작업조 기반의 Cost Data Prototype을 제시하였다. 특히, CYCLONE 모델은 민감도 분석을 통해 최적의 작업인원을 제시하는 모델이므로, 거푸집 공사의 다양한 작업공간과 작업인원을 대상으로 생산성을 분석할 수 있는 도구로 활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개발된 회귀식은 거푸집 공사의 작업인원을 독립변수로 하여, 필요한 작업량을 종속변수로 예측하는데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In the cost management of public construction projects, it is an important issue to develop an adequate cost data for estimating the predetermined amount by various methods. For a long time, a standard of estimation in korea is used as a basis for estimating the predetermined amount of public construction. However, they did not have a reasonable cost data based on a labor and equipment productivity analysis. For this reason, it is difficult to make a reasonable and efficient estimation of the costs, and this situation presents an urgent need for more accurate cost data to use in an early phase. This study analyzed the productivity of form work by the CYCLONE model, and presented the model on the number of optimal labor through sensitivity analysis. This CYCLONE model can be useful in analyzing productivity on the various sizes of form. Also, the regression model to estimate the daily output can be used in predicting the amount of labor. Considering the work duration in the regression model is expected to make the daily output estimation much more accurate.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윤식, 권석원, 김찬규, (2006), "건설공사 원가산정의 표준품셈과 실적공사비 비교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한국건설관리학회, pp.82-85.
  2. 김도형, 김경래, (2001)," 공동주택 SYSTEM FORM 공사의 생산성 분석 및 향상방안 제안",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2권 제3호, 한국건설관리학회, pp.101-109.
  3. 김두석, 김용수, 2000, "벽식 철근 콘크리트 거푸집 신공법의 생산성 분석 및 적용활성화 방안 연구", 건설환경논문집, 제12권 제1호, 중앙대학교, pp.115-133.
  4. 김원규, (2000), 한국 산업의 생산성 분석, 산업연구원.
  5. 김태훈, 신윤석, 조성수, 강경인, "초고층 골조공사의 바닥 거푸집별 생산성 분석", 한국건축시공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7권 제2호, 한국건축시공학회, pp.115-118.
  6. 유금록, (2005), "공공부문의 생산성 측정을 위한 비방사적 맘퀴스트 생산성 지수의 측정방법과 적용", 정책분석평가학회보, 제15권 제2호, 정책분석평가학회, pp.99-125.
  7. 안지성, 2008, "표준품셈 재.개정 프로세스 및 손율산정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이신모, (1993), "서비스 제공기업의 생산성 측정과 생산성 증대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생산성학회논문집, 제7권 제1호, 한국생산성학회, pp.55-79 .
  9. 이학주, 김대원, 조훈희, 강경인, (2008), "큐잉이론을 이용한 고층건물 가설리프트 계획모델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한국건설관리학회, pp.635-640.
  10. 전상훈, 구교진, (2008), "공동주택 골조공사의 표준품셈 노무량과 실투입 노무량 비교",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9권 제2호, 한국건설관리학회, pp.182-189.
  11. 전재열, (2002), "실적자료분석에 의한 건축공사비 산정방법 적용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18권 제4호, 대한건축학회, pp.121-128.
  12. 하기주, 최민권, 이동렬, 하민수, (2008), "선진국 사례연구를 통한 국내 실적공사비의 개선방안",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대한건축학회, pp.541-544.
  13. Cho, K. M., (2009), Integrated Schedule and Cost Management Model for Repetitive Construction Process of High-rise Building,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Seoul
  14. David, J. S., (1984), Productivity Engineering and Management, MacGraw-Hill Book Company
  15. Halpin, D. W., and Riggs, L. S., (1992), Planning and Analysis of Construction Operations, John Wiley & Son, Inc.
  16. Han, S. W., and Halpin, D. W., (2005), "The Use of Simulation for Productivity Estimations bas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nter Simulation Conference
  17. Lee, U. K., Kang, K. I., and Cho, H. H., (2006)," Decision Support Tool for Excavation Operation using Genetic Algorithms", Architectural Research, 8(2), pp.43-48.

피인용 문헌

  1. Estimating Productivity of AL-Form Operation Using Web-CYCLONE System vol.14, pp.3, 2013, https://doi.org/10.6106/kJCEM.2013.14.3.115
  2. Developing Simulation Model for Estimating the Productivity of Gang-Form Operation vol.30, pp.6, 2014, https://doi.org/10.5659/JAIK_SC.2014.30.6.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