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시각적 패러독스에서 이미지와 텍스트의 상관관계 -폭스바겐 광고 사례의 분석을 중심으로-

Relationship between Images and Text in the Visual Paradox -Focusing on Case Studies of Volkswagen Ads-

  • 김진곤 (홍익대학교 대학원 광고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과) ;
  • 박영원 (홍익대학교 조형대학 디자인.영상학부)
  • 투고 : 2011.10.28
  • 심사 : 2011.12.26
  • 발행 : 2012.01.28

초록

사람들은 다양한 미디어에 노출되고 있다. '디지털 혁명' 이후 미디어의 양적 팽창은 빠른 속도로 이루어지고 있다. 미디어의 팽창으로 인해 광고는 수용자의 반응을 이끌어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수용자의 반응을 이끌기 위한 노력으로써 수사적 표현이 사용된다. 본 논문은 수사적 표현 중 시각적 패러독스에 주목하였다. 시각적 패러독스의 특성인 의도적인 모순이나 모호성은 수용자의 반응을 유도하는 효과적인 표현 수단이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패러독스에 대한 논리학적 정의 및 유형 구분을 기반으로 하여 시각적 패러독스에 대해 정의하였다. 또한 광고에서의 시각적 패러독스는 이미지와 텍스트의 관계성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판단하여, 메타언어를 통해 이미지와 텍스트의 의미작용을 위한 상관관계를 밝혀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과정의 증명을 위해 폭스바겐 자동차 광고 사례를 분석하였다. 사례 분석을 통해 이미지와 텍스트가 상호 작용하여 새로운 의미를 생성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People are exposed to various media. After the Digital Revolution, quantitative expansion of the media is at a rapid pace. Because of the expansion of the media, advertising needs efforts that induce the audiences' reaction. Rhetorical devices are used as the efforts. This study noted the visual paradox of rhetorical devices because it is an effective representation device that induced audiences' reaction by deliberate contradiction and ambiguity. This study has defined the visual paradox based on define and classification of paradox in logic. This study also tried to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images and text for signification by metalanguage because it is important to the visual paradox in advertising. And analyzed cases of Volkswagen ads to prove the research process. Finally identified that images and text interact to create a new meaning.

키워드

참고문헌

  1. R. Barthes, 이미지와 글쓰기: 롤랑 바르트 이미지론, 김인식 편역, 세계사, 1993.
  2. J. Baudrillard, 시뮬라시옹, 하태환 역, 민음사, 2001.
  3. M. Gardner, 이야기 파라독스, 이충호 역, 사계절, 1990.
  4. S. Jhally, 광고 문화: 소비의 정치 경제학, 윤선희 역, 한나래, 1996.
  5. M. McLuhan, 미디어의 이해, 김성기․이한우 역, 민음사, 2002.
  6. W. Poundstone, 패러독스의 세계, 민찬홍 역, 뿌리와 이파리, 2005.
  7. E. Yamaoka, 거짓말쟁이의 역설, 안소현 역, 영림 카디널, 2004.
  8. P. Hughes and G. Brecht, Vicious Circles and Infinity-A Panoply of Paradoxes, Doubleday, 1975.
  9. W. V. O. Quine, The Ways of Paradox and Other Essays, Random House, 1966.
  10. 김진곤, 웹 사이트의 영상 이미지에 나타난 패러 독스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11. 김현조, "광고표현기법에서의 기호학적 접근방식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6, No.6, pp.125-135, 2006.
  12. 박성수, 디지털 영화의 미학, 문화과학사, 2005.
  13. 박영원, 시각적 유머의 생산과 의미작용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14. 정혜원, 양환석, "멀티미디어 매체에서 이미지의 상호작용성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5, No.2, pp.157-164, 2005.
  15. 황지영, "광고 패러독스 문채의 의미작용방식", 광고학연구, 제11권, 제3호, pp.61-80,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