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urvey of Magnetic Resonance Imaging Quality according to Magnetic Field Strength in Korea

자기공명영상장치(MRI) 자장세기에 따른 MRI 품질관리 영상검사의 개별항목점수 실태조사

  • Cho, Hyun-Hae (Department of Radiology, School of Medicine, Ewha Womans University, Mokdong Hospital) ;
  • Paik, Sang-Hyun (Korea Institute Accreditation of Medical Image) ;
  • Hwang, Ji-Young (Korea Institute Accreditation of Medical Image) ;
  • Choi, Won-Chan (Korea Institute Accreditation of Medical Image) ;
  • Shim, Jong-Hoon (Korea Institute Accreditation of Medical Image)
  • 조현혜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목동병원 영상의학교실) ;
  • 백상현 (한국의료영상품질관리원) ;
  • 황지영 (한국의료영상품질관리원) ;
  • 최원찬 (한국의료영상품질관리원) ;
  • 심종훈 (한국의료영상품질관리원)
  • Received : 2012.04.24
  • Accepted : 2012.06.23
  • Published : 2012.08.01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MRI used in Korea according to the magnetic field strength (MFS), in order to evaluate the failure rate of the MRI quality assurance test, and to analyze the scores of the subsection for phantom and clinical image tests according to MFS. Materials and Methods: For quality assurance test in Korea from Jan 2009 to Dec 2009, 279 MRI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number of MRI was based according to MFS, the type of hospital, production year, and whether or not new or used equipment was from the Korea Institute Accreditation of Medical Image database. The rates of failure in the phantom/clinical image test along with the scores of the subsection, according to MFS, were analyzed. Results: In this study, there were 78 low MFS MRI out of the 279 (28%) MRI. According to MFS, the rate of failure in high contrast spatial resolution of the phantom test was not different. The rate of failure and mean scores in the low contrast object detectability of the phantom test and the mean scores of the brain clinical image test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MFS. Conclusion: The low MFS MRI is constantly being spread due to used equipment in medical facilities. Quality control of low MFS MRI can be important because less than 1 T MRI received significantly lower scores in both phantom and brain clinical image tests.

목적: 자기공명영상장치(MRI)의 분포를 자장세기별로 조사하고, 자장세기별로 품질관리 검사에서 판정의 실태와 팬텀 및 임상영상검사의 개별항목 평가점수에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대상과 방법: 2009년에 한국의료영상품질관리원(이하 영품원)에 정밀검사가 의뢰된 MRI 장비 279대를 대상으로 하였다. 영품원의 자료에서 자장세기별, 의료기관종별, 생산연도, 신품 여부에 따른 국내 MRI 장비의 설치현황을 조사하였다. MRI 자장세기별로 팬텀/임상검사의 부적합 현황과 MRI 팬텀영상검사와 임상영상검사의 항목별 점수를 조사하여 자장세기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1 tesla (이하 T) 미만의 저자장 MRI 장비는 78대였다. 공간 분해능의 부적합 빈도는 자장세기에 따라 영향을 받지 않았다. T1 및 T2 강조영상의 대조도 분해능에서 0.3 T 이하의 MRI 장비 49대 중 36(T1) 및 42(T2)대, 1 T 미만의 장비 29대 중 7(T1) 및 18(T2)대가 부적합 판정을 받았고, 1 T 이상 장비는 0(T1) 및 4(T2)대가 부적합 판정을 받아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자장세기별로 1 T 미만의 장비와 1 T 이상의 장비는 대조도 분해능의 평균값과 영상정보항목 및 영상대조도 항목점수의 평균값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저자장 MRI 장비의 사용 빈도가 여전히 높았다. 품질관리 영상검사의 개별항목 평가점수가 1 T 미만의 저자장 장비에서 낮으므로 저자장 장비의 품질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