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mpact of Signal Intensity and Image Distorti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in the Orthopedic Prosthetic Metal

자기공명영상에서 정형보철 금속이 신호강도와 영상왜곡에 미치는 영향

  • Kim, Hyeong-Gyun (Dept. of Diagnostic Radiology, CHA Gumi Medical Center, CHA University) ;
  • Choi, Seong-Dae (Dept. of Intelligent Mechanical Engineering,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 김형균 (구미 차병원 영상의학과) ;
  • 최성대 (금오공과대학교 지능기계공학과)
  • Received : 2012.10.24
  • Accepted : 2012.12.03
  • Published : 2012.12.31

Abstract

Used as an ingredient in the hospital for orthopedic prosthetic stainless and titanium metal the same size as on the MRI diagnostic value of imaging were compared. Center of images, background high band portion of the video signal is converted into a weighted intensity values Normal images and compared. The area of normal slice and also the distortion of images and cross-sectional imaging of a range of quantitative and sagittal planes were compared. As a result, the periphery high band signal intensity values of Stainless video phantom 2, pig bone 1.8, Titanium imaging of phantom 1.7 has higher value than Normal video pig bone 1.3 times the signal strength rivers. MRI distortion of the shape and the distortions of the range, if the cross-sectional area compared to Normal Slice Stainless case of phantom 65.8 %, pig bone 61.5 %, Titanium distortion phantom 23.1 %, pig bone 38.5 % of the range of community found. In this experiment, as a result, MRI was found to be Titanium more diagnostic value than the specimen with respect to the signal intensity weighted value and low distortion range, Stainless.

병원에서 정형보철용 재료로 사용하는 스테인리스와 티타늄 금속을 같은 크기로 제작하여 자기공명영상에 미치는 영상학적 진단가치를 비교하였다. 영상의중심(Center), 영상이외부분(Background), 고 신호부분(High band)에 대한 신호강도 값을 가중치로 변환하여 금속시험편 없는(Norma)영상과 비교하였다. 또한 시상면영상과 횡단면영상의 왜곡범위를 정량적으로 수치화하여 금속시험편 없는 영상면적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고 신호영상의 신호강도 값은 스테인리스의 경우 팬텀(Phantom) 2, 돼지 뼈(Bone) 1.8, 티타늄의 경우 팬텀 1.7, 돼지 뼈 1.3 만큼 금속시험편 없는 신호강도가중치 값보다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자기공명영상의 왜곡형태와 왜곡 범위는 금속시험편이 없는 영상의 단면적대비 스테인리스의 경우 팬텀 65.8 %, 돼지 뼈 61.5 %, 티타늄은 팬텀 23.1 %, 돼지 뼈 38.5 % 의 왜곡범위를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본 실험에서는 신호강도가중치값과 왜곡범위가 낮게 변화를 보인 티타늄이 스테인리스 시험편보다 더 진단적 가치가 높은 자기공명영상임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홍현숙, 서원혁 : 자기공명 영상에서의 생체의학 이식 재료에 대한 인공물에 관한 연구, 고려논문집, 29(1), 195-200, 1992
  2. 이상복, 이삼열, 이준행 : MRI 영상에서 영역추출과 질환인식,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 27(3), 19-24, 2004
  3. Shellock FG, Morisoli S, Kanal E: MR procedures and biomedical implants, materials, and devices: 1993updates. Radiology, 189, 587-599, 1993
  4. Shellock FG : MR imaging of metallic implants and materials: a complication of the literature. AJR, 151, 811-814, 1998
  5. 김형균, 최성대 : 정형보철용 금속이 자기공명영상에 미치는 영향 I, 한국 기계 가공학회지, 11(4), 46-50, 2012
  6. 김형균, 최성대 : 정형보철용 금속이 자기공명영상에 미치는 영향 II, 한국 기계 가공학회지, 11(5), 115-120, 2012
  7. The Korean Society of Magnetic Resonance Imaging : 자기공명영상학, 청구문화사, 16-17, 37-50, 55, 67-69, 107-110, 119-132, 2008
  8. 이성우 : 최신 자기공명기술학, 여문각, 288-289, 1998
  9. 이기섭 : MRI 기초물리, 대한방사선과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13.2-13.2, 1991
  10. 박용훈, 최용석, 김형태 등 : Magnet Depth type에 따른 Metallic susceptibility Artifact에 관한 고찰, 대한자기공명기술학회지, 19, 45-52,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