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과학캠프 운영이 초등과학영재의 과학탐구능력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The Science Camp Program on Science Process Skills and Scientific Attitudes for The Elementary Scientific Gifted Students

  • 투고 : 2012.11.18
  • 심사 : 2012.12.28
  • 발행 : 2012.12.31

초록

본 연구는 초등과학영재를 위한 과학캠프의 운영이 초등과학영재의 과학탐구능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과학캠프에 대한 초등과학영재의 인식은 어떠한지 알아보기 위해 계획되었다. 과학캠프는 '우주과학 창의체험 스쿨'이란 주제로 2012년 1월 14일부터 1월 17일까지 초등과학영재를 대상으로 3박 4일 동안 전남 고흥군 동일면에 위치한 K청소년 우주체험센터 및 우주과학관 일대에서 진행되었다. 과학캠프 프로그램은 K청소년 우주체험센터에서 개발된 체험활동 프로그램을 본 연구의 목적에 맞도록 천문우주과학 영역과 항공우주과학 영역으로 구분하여 총 30차시로 재구성하여 운영하였다. 과학캠프가 초등과학영재의 과학탐구능력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처치 사전-사후에 과학탐구능력, 과학적 태도 검사를 실시하였고, 과학캠프의 효과성에 대한 초등과학영재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설문지를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 분석은 과학탐구능력 및 과학적 태도 검사는 t-검정으로 분석하였고, 과학캠프에 대한 인식조사는 설문지에 대해 반응한 응답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과학캠프 체험학습은 초등과학영재의 과학탐구능력(t=8.649, p=.000)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고(p<.05), 과학적 태도(t=3.431, p=.003)에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p<.05). 따라서 과학캠프 운영은 초등과학영재의 과학탐구능력과 과학탐구능력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으며, 과학캠프 운영에 대한 인식은 과학캠프의 운영에 대해 대체로 만족하였고,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한 인식은 탐구력, 활용도, 자기계발에 많은 도움이 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effects of the science camp program on Science Process Skills and Scientific Attitudes for the Scientific Gifted Students. For this purpose, this research developed the science camp program. This program was totally consisted 30 lessens. there was 2 part in this program. It contained Astronomic Space Science(14 class), Aerospace Science(16 class). To find the effects of the science camp program on Science Process Skills and Scientific Attitudes for the Scientific Gifted Students. 20 participants was selected. these students were attended at a scientific gifted class(5th grade) of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Ulsan. First, Science Process Skills was used to find the effect of the science camp program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SPSSWIN 18.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science camp program was a positive effects on Science Process Skills of the Scientific Gifted Students(t=8.649, p=.000). Second, the science camp program was a positive effects on Scientific Attitudes of the Scientific Gifted Students(t=3.431, p=.003). According to this research, the science camp program on Science Process Skills and Scientific Attitudes for the Scientific Gifted Students. It will be contribute on the curriculum construction of the gifted school or gifted class.

키워드

참고문헌

  1. 권난주, 김상용, 나상훈 (2010). 초등과학캠프의 운영 실태와 선호도 조사를 통한 활성화 방안. 과학교육연구지, 34(2), 306-319.
  2. 권재술, 김범기 (1994). 초․중학생들의 과학탐구능력 측정도구의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4(3), 251-264.
  3. 권치순, 김재영, 김남일, 임채성, 전영석 (2007). 초등과학 영재 캠프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초등과학교육, 25(5), 522-531.
  4. 김동욱, 원정애, 백성혜 (2005). 초등학교 과학 영재아들의 탐구능력에 대한 분석. 과학교육논문집, 15(1), 60-72.
  5. 김수연 (2006). 초등학교 과학과 탐구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연구: IIM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춘천교육대학교.
  6. 김창만, 차정호, 김인환, 최정훈, 황북기 (2011). 체험중심 과학 캠프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과학교육연구지, 35(1), 102-118.
  7. 박종규 (1987). 야외학습지도 이론과 실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 41-48.
  8. 박종석, 오원근, 박종욱, 정병훈 (1999), 과학캠프 활동 평가를 통해 추출한 과학 영재 프로그램의 적절성 준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2), 329-339.
  9. 서혜애, 이윤호 (2003). 영재교육기관의 교수 ․ 학습실태 분석: 중학생 대상 과학영재교육. 중등교육연구, 51(2), 69-86.
  10. 신명렬, 이용섭 (2011). IIM을 적용한 천문학습 프로그램 개발 ․ 적용이 초등과학영재 학생 의 과학탐구능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영재교육연구, 21(2), 337-355.
  11. 신미영, 전미란, 최승언 (2005). 서울대학교 과학영재 프로그램의 학습 목표, 과학적 모형, 과학탐구의 인지 과정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26(5), 387-395.
  12. 심재영, 김언주, 이한규 (2007). 발명캠프 프로그램이 창의성 증진에 미치는 효과. 아동교육, 16(4), 131-142.
  13. 유미현 (2010). SSC 실험이 과학영재의 과학적 태도, 창의적 성격 특성 및 과학탐구 능력에 미치는 효과. 영재교육연구, 20(2), 487-502.
  14. 유미현, 강윤희, 여상인 (2011).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여름 캠프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3(1), 19-37.
  15. 이용섭, 박미진 (2011). 초등학교 과학영재의 귀인성향과 과학 관련 태도 및 과학탐구능력과의 관계.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3(2), 124-131.
  16. 이용섭, 이건의 (2011). 과학과의 SGIM 적용 수업이 과학적 탐구능력 및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4(1), 43-56.
  17. 이학범 (2004). 지역간 과학기술 균형발전. 과학문화, 48, 6-7.
  18. 임희준, 신명경 (2008). 초등 과학 영재아 지도 입문. 파주: 교육과학사.
  19. 정완호, 허명, 윤병호 (1994). 국민학생의 과학적 태도 측정을 위한 도구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4(3), 265-271.
  20. 조희형 (1992). 과학․기술․사회와 과학교육. 파주: 교육과학사.
  21. 최원호 (2005). 과학동아리 대상 과학캠프 모형 개발.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22. 최원호, 손정우, 이봉우, 이인호, 선영준, 한재영, 최정훈 (2007). 과학영재를 위한 과학캠프의 자료와 활동의 평가준거 개발. 국제과학영재학회지, 1(1), 1-10.
  23. Gardner, H. (1983). Frames of mind: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 New York: Basic Books.
  24. Renzulli, J. S., & Reis, S. M.(1985). The schoolwide enrichment model: A comprehensive plan for educational excellence. Mansfield Center, CT: Creative Learning Press.
  25. Richard, D., & Barrie, G. (1999). A study of the effect of an outdoor education experience on students perceptions of their peers.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New Zealand, 32(2), 16-18.
  26. Terman, L. (1916). The measurement of intelligence. Boston: Houghton Miflin.

피인용 문헌

  1. Application of Oceanic Camp Program for the Enhancement of Inquisitiveness and Affection to Ocean: from 2004 to 2012 vol.18, pp.3, 2013, https://doi.org/10.7850/jkso.2013.18.3.1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