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Maritime Policemen's Cognition about Proper Manpower Distribution: Focused on Workers of South Regional Headquarters, Korea Coast Guard

적정인력 배분에 관한 해양경찰관들의 인식도 조사 연구: 남해지방해양경찰청 소속 근무자들을 중심으로

  • Kim, Sang-Goo (Department of Maritime Administration, National Korea Maritime University)
  • 김상구 (한국해양대학교 해양행정학과)
  • Received : 2012.09.13
  • Accepted : 2012.11.16
  • Published : 2012.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firstly, investigate cognition of affiliated members about manpower distribution of the South Regional Headquarters Korea Coast Guard(SRH-KCG) and danweis. Secondly, seek ways to reasonable manpower distribution of SRH-KCG and danweis. And this study's research subjects are five coast guards(Busan coast guard, Tongyeong coast guard, Yeosu coast guard, Jeju coast guard, Seogwipo coast guard) belonged to SRH-KCG.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ly, 56.7% of affiliated members approved the need to organizational diagnosis. Secondly, must manpower loading in order of Busan coast guard Tongyeong coast guard Jeju coast guard. Thirdly, must manpower loading in order of maritime safety division the security division criminal investigation divition.

본 연구는 남해지방해양경찰청 본청과 소속 5개 해양경찰서(부산해양경찰서, 통영해양경찰서, 여수해양경찰서, 제주해양경찰서, 서귀포해양경찰서)에 근무하고 있는 근무자들을 대상으로 적정 인력배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해양경찰서별 및 근무부서별 합리적인 인력배분 방안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남해청 소속 근무자들은 조직진단의 필요성에 대하여 56.7%가 찬성하는 것으로 응답하였다. 둘째, 향후 해양경찰서별 인력 재배치를 해야 한다면 업무량이 늘어날 것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높은 부산해양경찰서, 통영해양경찰서, 제주해양경찰서 등의 순으로 인력을 배치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근무부서별 인력 재배치를 해야 한다면 업무량이 증가하고 있는 해상안전과, 경비과, 수사과 등의 순으로 인력 재배치를 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공석덕(1988), 행정조직의 관리체계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행정학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p. 20.
  2. 김상구(2010), 해양경찰청의 적정 인력규모에 관한 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34권, 제8호, p. 679. https://doi.org/10.5394/KINPR.2010.34.8.679
  3. 김상구.박재홍(2010), 해양경찰 파출소 조직의 건강성과 조직효과성에 관한 연구-근무자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34권, 제1호, p. 83, 88. https://doi.org/10.5394/KINPR.2010.34.1.083
  4. 김정훈(2008), 국내 해역의 월별 해양사고건수에 관한 통계적 고찰,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32권, 제10호, p. 751. https://doi.org/10.5394/KINPR.2008.32.10.751
  5. 류종해(1994), 현대조직관리, 서울: 박영사, p. 120.
  6. 박재홍(2010), 해양경찰관의 조직몰입과 직무만족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8.
  7. 이상호(1995),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의 정원관리에 관한 가치지향적 접근,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2-3.
  8. 장인식(2009), 국내 연안해역 안전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해양환경안전학회지, 제15권, 제4호, p. 393.
  9. 최성두(2002), 해양경찰 공무원의 조직에 대한 인식과 평가, 해양환경안전학회지, 제8권, 제1호, p. 97, 90.
  10. 해양경찰청(2012), 2011년 해양경찰백서, p. 23. 347.
  11. 해양경찰청(2011), 2010년 해양경찰백서, pp. 436-437.
  12. Bennis, W, G,(1966), The Concept of Organizational Health, N.Y: McGraw-Hill, pp. 116-117.
  13. http://www.kcg.go.kr/jh/intro/greeting.js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