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Reasons and Alternatives of Integrated Ocean Administrative System in Korea

우리나라 통합해양행정체계의 논리와 설립방향

  • 강윤호 (한국해양대학교 해양행정학과) ;
  • 최성두 (한국해양대학교 해양행정학과)
  • Received : 2012.08.21
  • Accepted : 2012.10.24
  • Published : 2012.12.31

Abstract

The paper analyzed the logical and empirical grounds for integrated ocean administrative system and conducted comparative analysis of the ocean administrative systems of a few major foreign countries. Also the paper suggested the alternative systems of integrated ocean administration, based on the analyses. The analyses indicated that integrated coastal and ocean management, synergy effects of integration, and people's support could be the grounds for the integrated ocean administrative system. They also indicated that nowadays, major foreign ocean countries are oriented to integrated ocean administrative systems. The paper suggested the following three alternatives of integrated ocean administrative system: i) the creation of a new ministry, ii) the creation of an interministerial and intergovernmental coordinating committee, iii) the naming of a lead ministry.

본 연구에서는 통합해양행정체제가 필요한 논리적 실증적 근거를 분석하였다. 또한 우리나라의 해양행정체제의 변화과정과 주요 외국의 해양행정체제의 경향을 비교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우리나라 통합해양행정체계의 설립방향을 제안하였다. 통합 해양행정체제의 근거로 연안 및 해양의 통합관리, 통합의 시너지 효과, 국민적 지지를 들었다. 우리나라의 해양행정체계는 시대에 따라 통합체제와 분산체제를 번갈아 이용 해왔다. 최근 세계 주요 해양강국들은 해양의 중요성을 감안하여 해양행정기능과 조직의 통합화를 지향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우리나라에서 통합해양행정체계의 형성 대안으로 새로운 통합해양행정부처의 설립, 조정위원회의 설립, 지도부처의 지정 등 세 가지를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윤호(2002), "해양수산부의 통합 해양행정 기능 수행에 대한 국민인식," 국제해양문제연구, 제14권, 제2호,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2. 강윤호(2003), "해양행정조직 개편의 과정과 결과: 해양수산부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제37권, 제2호.
  3. 강정운(2001), "한국 연안통합관리의 효율화 방안," 한국사회와 행정 연구, 제12권, 제3호.
  4. 김경신(2012), 중국의 해양정책, 국제지역연구학회 여수엑스포 기념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5. 김길수(2012), "미래지향적 해양행정조직 구상," "가장좋은 해수부 만들기" 모델정립 전문가 패널 토론회 자료집, 해양수산부부활국민운동본부/ 한국해양대학교 세계해양발전전략연구소.
  6. 김영평 외(2002), 미래 행정수요에 대비한 해양수산기능 조정방안 연구, 한국행정학회․삼일회계법인.
  7. 김창수(2003), "해양수산행정 통합효과의 시차적 해석," 지방정부연구, 제7권, 제2호.
  8. 김홍섭(2011), "해양강국 실천을 위한 행정조직 부활의 필요성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7권, 제4호.
  9. 박성욱, 양희철(2008. 3), "일본의 해양기본법 제정과 우리의 대응방안 연구 - 한.중.일 해양행정체계 비교를 중심으로 -," 해양극지연구, 제30권, 제1호.
  10. 유재명(2012), "21세기 해양수산부 모델," "가장 좋은 해수부 만들기," 모델정립 전문가 패널 토론회 자료집, 해양수산부부활국민운동본부/ 한국해양대학교 세계해양발전전략연구소.
  11. 조동오(2012). "미국.캐나다.호주의 해양정책," 국제지역연구학회 여수엑스포 기념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12. 조삼현(2012), "해수부의 부활방향," "가장좋은 해수부 만들기," 모델정립 전문가 패널 토론회 자료집, 해양수산부 부활국민운동본부/ 한국해양대학교 세계해양발전전략연구소.
  13. 최성두(2004), 해양과 행정. 전망.
  14. 최재선(2012), 일본의 해양정책, 국제지역연구학회 여수엑스포 기념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15. Baliana Cicin and Robert W. Knecht(2000), The Future of U.S. Ocean Policy. Island Press.
  16. Cicin-Sain, B.(1993), "Sustainable Development and Integrated Coastal Management." Ocean and Coastal Management Vol. 21(1-3).
  17. Cicin-Sain, Biliana. and Knecht, Robert W.(1998), Intergrated Coastal and Ocean Management: Concepts and Practices, Island Press.
  18. Commission on Marine Science, Engineering and Resources(1969), Our Nation and the Sea - a Plan for National Action.
  19. Fluharty, David(2012), "US Ocean Governance : Best Practices for Integrated Governance." World Ocean Forum 2012 Proceeding.
  20. Lee, S. W.(2012), "Integrated Ocean Governance in Korea :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World Ocean Forum 2012 Proceeding.
  21. Levy, J. P.(1988), "Towards Integrated Marine Policy in Developing Countries," Marine Policy, July.
  22. Moe, Terry. M.(1990), "The Politics of Structural Choice: Toward a Theory of Public Bureaucracy." Williamson, Oliver, ed. Organization Theory: From Chester Barnard to the Present and Beyon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3. Nakahara, Hiroyuki(2012), "Ocean Governance in Japan.," World Ocean Forum 2012 Proceeding.
  24. U.S. Commission on Ocean Policy(2004), An Ocean Blueprint for the 21st Century.
  25. White House Council(2010), Final Recommendations of the Interagency Ocean Policy Task For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