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Dynamic Analysis of One-way Hollow Slab Using Equivalent Plate Element

등가플레이트 요소를 이용한 일방향 중공슬래브의 동적해석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12.06.28
  • Accepted : 2012.08.30
  • Published : 2012.10.31

Abstract

Considering that the weight of a hollow slab system is not increased with an incremental increase in its thickness, and that the flexural stiffness of a hollow slab is not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a general slab, there has been a growing need for hollow slab system, because long span structures are in great demand. In a long span structure, the problem of vibration of floor slabs frequently occurs, and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a hollow slab system are quite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floor system. It is required to investigate the safety and the serviceability of hollow slab. Therefore, there exists a necessity for accurate vibration analysis. Hollow slab should be modeled by refined mesh for accurate vibration analysis. For the efficiency of the Eigenvalue Analysis, an equivalent plate slab model when can relatively precisely represent the dynamic behavior of a one-way hollow slab system is used. In conclusion, equivalent plate models relatively precisely presented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one-way hollows.

중공슬래브 시스템은 슬래브 두께가 증가해도 자중은 크게 증가하지 않으면서 일반슬래브에 비해서 휨강성이 크게 저하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스팬 구조의 경우 바닥판 진동의 증가에 의한 사용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특히 중공슬래브의 경우 기존의 구조시스템과 동적특성이 상이하다. 따라서 진동에 대한 중공슬래브의 안전성 및 사용성 검토가 요구되고 있으며, 이를 위한 실용적인 정밀해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고유치 해석을 위하여 일방향 중공슬래브의 동적특성을 비교적 정확하게 나타낼 수 있는 등가의 플레이트 모델을 사용하였다. 결론적으로 등가플레이트 모델이 일방향 중공슬래브의 동적특정을 비교적 정확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주원, 박성무, 김기철 (2008) 충격음 차단성능 향상을 위한 현장타설 콘크리트 슬래브의 중공관 시스템 적용,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24(12), pp.75-82.
  2. 김기철, 이동근 (2001) 보행하중에 의한 구조물 진동의 효율적인 해석, 한국지진공학회 논문집, 5(1), pp.21-29.
  3. 김기철, 김광만 (2007) 중공슬래브 바닥판의 진동 및 충격음 특성에 관한 실험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23(4), pp.59-69.
  4. 김민규, 박현재, 이동근, 황현식, 김현수 (2009) 보행하중에 대한 2방향 중공슬래브의 진동성능 평가,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13(5), pp.11-21. https://doi.org/10.5000/EESK.2009.13.5.011
  5. 박현재 (2009) 이방향 중공슬래브 구조시스템의 지진거동 평가,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6. 장재희 (2002) 공동주택 바닥충격음 저감재의 저감효과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8(4), pp.205-212.
  7. 공동주택 바닥충격음 차단구조인정 및 관리기준 (건설교통부 고시 제2009-1217호).
  8. 대한건축학회, 건축구조기준 2009 (2010) 기문당.
  9. Ansel C. Ugural (1999) Stresses in Plates and Shells (2nd).
  10. Elliott, G. (1979) Test of a Quarter-scale Reinforced Concrete Voided Slab Bridge, Cement and Concrete Association Technical Report 527.
  11. Elliott, G., Clark, L.A. (1982) Circular Voided Concrete Slab Stiffnesses, Journal of the Structural Division, 108(11), pp.2379-2393.
  12. Meesand, P., Vermeir, O. (1993) Structure-Borne Sound Transmissionat Elastically Connected Plates, Journal of Soundand Vibration, 166(1), pp.55-76. https://doi.org/10.1006/jsvi.1993.12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