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한국형 코드아담제도 도입을 위한 입법모델 연구

Missing Children Policy in Korea: A Legislative Model for Korean Code Adam Alert

  • 투고 : 2012.09.13
  • 심사 : 2012.10.17
  • 발행 : 2012.12.28

초록

실종아동의 발생 시 가장 중요한 것은 초기수색을 통해 조속히 실종된 아동을 찾는 것이다. 1981년 미국에서 발생한 아담 월시 실종사건을 계기로 미국에서는 코드아담법을 제정, 모든 연방건물에서 실종아동 발생시 코드아담경보를 발령토록 하고 있고, 월마트를 비롯하여 다중이용 민간시설에서는 자발적으로 여기에 동참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최근 이러한 코드아담법의 도입이 논의되고 있으나 아직 선행연구가 전무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한국형 코드아담법의 입법모델을 제시하였다. 동 모델에 따라 대규모 점포나 놀이시설 등을 포함한 대규모 다중이용에서 의무적으로 '실종아동등의 예방 및 조기발견계획'을 수립 시행하도록 하고, 이를 위반할 경우 행정질서벌로서 과태료를 부과하고 명단을 공표하는 방식의 제재수단을 마련하도록 하는 것과, 자율적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인증제를 통해 실종아동예방 안전시설에서 인증로고를 상업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제안한다.

In 2003, the US Congress enacted the Code Adam Act of 2003. The Act was so-named in memory of six-year-old Adam Walsh, who was abducted from a Sears department store in Florida and was later found murdered in 1981. According to the Act, the designated authority for a public building must establish procedures for locating a child missing in a federal facility in the USA. In this context, the study basically aims to propose a legislative model for a missing children policy in Korean multi-use facilities, critically analyzing the US Code Adam Act. Unlike the Act, the proposed Korean bill requires all multi-use facilities beyond a certain size, including private buildings, to arrange a feasible missing child procedure on their own premises. The bill can impose an administrative fine on facilities which don't have the procedure in place, and further can make the list of the facilities known to the public. In order to encourage voluntary participation from the private sector, the bill finally suggests the Voluntary Certification Scheme through which participating business can take advantage of the certification logo commercially.

키워드

참고문헌

  1. http://www.index.go.kr/egams/stts/jsp/potal/stts/PO_STTS_IdxMain.jsp?idx_cd=1610&bbs=INDX_001&clas_div=C&rootKey=1.48.0, 2012.
  2. CNN. Police: Drifter killed Adam Walsh in 1981, http://articles.cnn.com/2008-12-16/justice/walsh.case.closed_1_walsh-case-john-and-reve-walsh-missing-children-s-assistance-act/2?_s=PM:CRIME 2008.
  3. http://m.mw.go.kr/data_2/cm_data_view.jsp?MENU_ID=0403&cont_seq=271962&page=19. 2012.
  4. http://article.joinsmsn.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3132283&cloc=, 2008.
  5. 박윤흔, 행정법(하), 박영사, 2004..
  6. 김동희, 행정법 II, 제17판, 박영사, 2011.
  7. 김남진, 김연태, 행정법 II, 법문사, 2004.
  8. 류지태, 박종수, 행정법신론, 박영사, 2011.
  9. 손재영, 경찰법, 박영사, 2012.
  10. 안황권, 공배완, 김상진, 박현호, 서진석, 이창무, 임준태, 정 웅, 비교시큐리티제도론, 진영사, 2007.
  11. R. Dubischar, "Inhalt und Schutzbereich von Bewachungsverträagen," NJW, pp.3241-3243. 1989.
  12. M. Lange, "Privates Sicherheitsgewerbe in Europa, Eine rechtsvergleichende Studie unter Berüucksichtigung grenzüuberschreitender Aktivitäaten und einer Harmonisierung des Sicherheitsgewerberechts," Heymanns, 2002.
  13. 이종환, 이민형, "경비업법 제7조 제1항 관리권 범위에 대한 법적 해석", 한국경호경비학회, 제26호, pp.59-87, 2011.
  14. D. Merten, "Rechtsstaat und Gewaltmonopol," Mohr Siebeck, 1975.
  15. M. Schulte, "Gefahrenabwehr durch private Sicherheitskrafte im Lichte des staatlichen Gewaltmonopols," DVBl. pp.130-132, 1995.
  16. A. Peilert, "Das Recht des Auskunftei- und Detekteigewerbes," Duncker & Humblot, 1996.
  17. 이성용, "민간경비활동의 헌법적 한계", 헌법학연구, 제12권, 제5호, pp.359-389, 2006.
  18. F. Huber, "Wahrnehmung von Aufgaben im Bereich der Gefahrenabwehr," Duncker & Humblot, 2000.
  19. A. Krolls, "Die Privatisierung der inneren Sicherheit," GewArch, p.445, 1997.
  20. R. Scholz, "Verkehrsuberwachung durch Private," NJW, pp.14-18, 1997.
  21. 이성용, "고권적 권한수탁을 통한 사인의 치안활동", 경찰학연구, 제6권, 제3호, pp.104-124, 2006.
  22. 이부하, "헌법영역에서 기본권보호의무", 공법학연구, 제8권, 제3호, pp.123-139, 2007.
  23. 소방방재청, 2012 소방방재 주요통계, 2012.
  24. 김성수, 개별행정법, 법문사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