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echnology Development for Improving Animation Performance Based on Train Route Patterns

열차 경로 패턴기반 애니메이션 성능 개선 기술 개발

  • Received : 2012.07.09
  • Accepted : 2012.09.21
  • Published : 2012.10.31

Abstract

As information technology used for simulation and virtual reality developed,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animation technologies which will effectively deliver simulation results to users. Various efforts have been made to improve animation performance, like playback quality and speed, input-output speed and storage space reduction. However, earlier studies generally focused on image compression frame by frame. To significantly improve storage space and playback speed, animation data should be vectorized. Also, spatial and temporal duplication have to be removed. In this study, animation data structure was improved fundamentally through establishment of hierarchy and vectorization. Also Spatial and temporal duplication of animation data was removed through vectorization based on train route. As a result, storage space was reduced, input-output speed and playback speed were considerably improved. According to the test, additional Patternization which followed vectorization brought reduction of over 80% in storage space and input-output speed was quadrupled. Patternization technology can be used as a proper storage method of animation data, and can provide user-specific animation by small data transmission.

IT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및 가상현실 기술이 발전하면서 시뮬레이션 결과를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애니메이션 기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애니메이션에 대한 재생품질, 재생속도, 입출력 속도, 저장공간 축소 등애니메이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있었다. 그러나 기존 연구는 대부분 애니메이션 영상에 대한 프레임별 이미지 압축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애니메이션의 저장용량 및 재생 속도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기 위해서는 애니메이션 자료를 벡터화 하고 시간적 공간적 중복성을 제거해야 한다. 본 연구는 애니메이션 자료에 대한 계층화, 벡터화를 통해 애니메이션 자료구조를 근본적으로 개선하였으며, 열차 이동경로 기반한 애니메이션 자료의 패턴화를 통해 애니메이션 자료의 시간적 공간적 중복성을 제거하여 저장공간을 현저히 축소하였고 입출력 속도 및 재생속도를 획기적으로 개선하였다. 실험결과 애니메이션 벡터화 이후 추가적인 패턴화를 통해 저장공간이 80%이상 축소되었으며 입출력 속도가 약 4배 향상되었다. 이러한 패턴화 기술은 객체의 이동경로가 존재하는 다양한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애니메이션 자료 저장방식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아주 작은 애니메이션 자료 전송량으로 인해 사용자 맞춤형 애니메이션을 제공하기 적합한 기술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Zhanwei Wu, Heng Wang, Hua Zhang, "Virtual Scene Modeling Technology Based on OpenGL and 3dsMAX", Computational Intelligence and Design (ISCID), 2011.
  2. Xufeng Li, Fenghua Shi, Yonghui An, "Visualization Modeling of Mine Roadway Based on DirectX", Information and Computing Science, 2009.
  3. 김윤기, 김슬기, 최원석, 김지주, 최영미, 주문원, 윤태복, "XNA를 이용한 캐주얼 게임 개발", 한국멀티미디어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pp. 653-655, 2009.11.
  4. M.Ujaldon, SG. Ebner, J.Saltz, "On the capabilities of the GPU for general purpose computing", Online:OSUBMI_TR_2004_n18.pdf.
  5. 이경희, 석진욱, 서재원, "영역에 따른 탐색 패턴을 이용한 움직임 벡터 예측 방법", 대한전기학회, CICS 정보 및 제어 학술대회 논문집, pp.421-422, 2007.10.
  6. 안정환, "MPEG AFX: 애니메이션 압축 기술", 한국통신학회 정보와통신 제24권 제4호, pp.67-75, 2007.4.
  7. Jinghua Zhang, Jinsheng Xu, Huiming Yi, "Octree-Based 3D Animation Com pression with Motion Vector Sharing", Information Technology, 2007.
  8. O.Petrik, L.Vasa, "Improvements of MPEG-4 standard famc for efficient 3D animation compression", 3DTV Conference: The True Vision-Capture, Transmission and Display of 3D Video (3DTV-CON), 2011.
  9. A.R.Vamsidhar, P.K.Bora, S.Das, "Animation Geometry Compression using the Linear Discriminant Analysis", Computer Vision, Graphics & Image Processing, 2008.
  10. 김낙우, 김태용, 강응관, 최종수, 강은관, "압축영역에서 움직임 벡터의 재추정을 이용한 비디오해석 기법", 전자공학회지 제39권 제3호 pp.78-87, 2002. 5.
  11. 임훈, 이종원, "애니메이터의 예술적 특성을 반영한 라인패턴 라동생성 기법", 한국콘텐츠 학회 게임&엔터테인먼트 논문지 제2권 제1호, pp.27-34, 2006.3.
  12. 원인수, 조주희, 나상일, 진주경, 정재협, 정동석, "장면의 유사도 패턴 비교를 이용한 내용기반 동영상 분할 알고리즘", 한국멀티미디어학회,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제14권 제10호, pp.1252-1261, 2011.10.
  13. 진주경, 나상일, 정동석, "움직임과 영상 패턴서술자를 이용한 중복 동영상 검출", 대한전자공학회, 전자공학회논문지-SP, 제48권 SP편 제4호, pp.107-115, 20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