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valuation of Mobility and Safety of Operating an Overlap Phase on a Shared-Left-Turn Lane Using a Microscopic Traffic Simulation Model

미시교통시뮬레이션모형을 이용한 공용 좌회전 차로의 중첩현시운영의 이동성과 안전성 평가 연구

  • 윤일수 (아주대학교 환경건설교통공학부) ;
  • 한음 (아주대학교 건설교통공학과) ;
  • 우석철 (수원시 교통행정과 교통정보팀) ;
  • 윤정은 (아주대학교 건설교통공학과) ;
  • 박성호 (아주대학교 건설교통공학과)
  • Received : 2012.05.11
  • Accepted : 2012.09.19
  • Published : 2012.10.31

Abstract

Government agencies including the national police agency have executed diverse efforts including continuous improvements of traffic facilities and operation methods, education, enforcements in order to improve traffic operation systems; nevertheless there have been continuous criticisms on irrationality in traffic signal and road facility operation. One of the reasons may be the lack of systematic preliminary evaluations on various alternatives. However, there was no appropriate tool to evaluate the mobility and safety of thus alternatives in a systematic way.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the systematic use of microscopic traffic simulation models as a comprehensive evaluation tool. In addition, this study verified the potential of using a microscopic traffic simulation model using the case of operating an overlap phase on a shared-left-turn lane through a systematic way where the evaluation was conducted through data collection, building networks, calibrating microscopic simulation models, producing performance measures, evaluating mobility and safety, and so on. As a result, the operation of overlap phase on a shared-left-turn lane showed no big difference from other operation scenarios such as leading left-turn on exclusive left turn lane in terms of mobility. However the operation of overlap phase on a shared-left-turn lane decreased safety by increasing potential conflicts.

정부는 교통운영체계 선진화를 위하여 지속적인 교통시설 및 운영방식 개량, 그리고 교육 및 단속 등을 실시하여 왔다. 그러한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교통신호와 도로운영체계가 불합리하다는 지적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이러한 원인 중에 하나는 정부가 제시한 대안들에 대하여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사전 평가가 부족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다양한 교통운영체계 대안에 대한 이동성 및 안전성을 종합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도구가 부족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종합적인 평가 도구로써 미시교통분석모형의 체계적인 활용을 제안하며, 분석사례로 공용 좌회전 차로에 중첩현시가 적용 중인 대상교차로는 다양한 시나리오 하에서 안전성과 이동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공용 좌회전 차로에서 중첩현시의 적용은 이동성은 큰 차이가 없으나 안전성 측면에서 불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체 및 직진교통량 증가를 가정한 민감도 분석에서는 중첩현시가 가장 좋은 이동성을 보이나 안전성 측면에서 크게 나빠지는 것을 계량적으로 증명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국가경쟁력 강화 위원회, "기초 법질서 확립을 위한 교통운영체계 선진화방안," 국가경쟁력 강화위원회, 2009
  2. 경찰청, "교통운영체계 선진화연구," 경찰청, 2010
  3. 신동철, "신호교차로의 개별현시방법 적용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광주대학교, 1999
  4. 박종욱, "교차로 교통사고 감소방안에 관한 연구(좌회전 현시 순서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2004. 2
  5. 이세희, "독립신호교차로에서 Daul-Ring 개념의 신호현시 최적화 기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2008. 8
  6. 장효석, "도시부 신호교차로에서의 선행/후행 좌회전 신호 순서에 따른 지체 완화 방안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2010. 2
  7. 경찰청, "교통신호기 설치․관리 매뉴얼," 경찰청, 2005. 12
  8. 국토해양부, "도로의 구조․시설 기준에 관한 규칙 해설," 대한토목학회, 2009. 12
  9. B. Park, J. Won and I. Yun, "Application of Microscopic Simulation Model Calibration and Validation Procedure: A Case Study of Coordinated Actuated Signal System,"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TRR) 1978, TRB, Washington D.C., November 2006.
  10. 윤일수, "SSAM을 이용한 신호교차로 안전성 평가(감응식 교통제어 도입사례를 중심으로)," 한국ITS논 문학회지, 제10권, 제6호, pp.1-14, 2011. 12
  11. Levine, David, Stephan, Krehbiel and Berenson, "Statistics for Managers Using Microscopic Excel," 6th edition, Prentice Hall, 2011.
  12. FHWA, "Surrogate Safety Assessment Model," FHWA, 2008.
  13. D. Gettman and L. Head, "Surrogate Safety Measures from Traffic Simulation Models," FHWA,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