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변수에 대한 연구

Impact Factor upon Consumer Buying Behavior

  • 정용규 (을지대학교, 의료IT마케팅학과) ;
  • 원재강 (경기대학교, 컴퓨터과학과) ;
  • 박정구 ((주)가비아 인터넷사업부) ;
  • 조성호 (PISCO코리아뉴메틱(주))
  • 투고 : 2012.02.19
  • 심사 : 2012.03.15
  • 발행 : 2012.03.30

초록

대형마트의 시장규모는 국내유통시장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국내 유통시장은 지난 1996년 유통시장 개방 이후 대형마트의 확산과 성장에 힘입어 발전해왔다. 하지만 최근에는 업태 간 경쟁이 너무 치열해지면서 더 많은 고객을 유치하기 위해 가격경쟁을 넘어 시식행사와 같은 이벤트가 많아졌다. 이러한 상황에서 시식행사와 관련된 요인과 소비자 구매행동에 관한 관계를 규명하는 것은 중요한 일이다. 대형마트의 시식행사가 소비자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시식행사기준을 제품요인으로 설정하여 변수들 간의 관계를 연구모형으로 설정하였다. 연구결과 여러 가지 제품에 대한 요인 중 원산지에 따라 추가 지불 가능한 금액이 증가한다는 가설 하나만이 유의성 있게 나왔다. 이것으로 보아 대형마트에서는 시식행사 시 상품의 원산지를 투명하고, 또한 최근에 수입산 식품의 대한 부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는 소비자에게는 국산 제품위주로 시식행사를 진행하는 것이 마트의 매출액을 높이고 고객을 더 끌어들이기 위한 하나의 방안이 될 것으로 본다.

Recently, the market size of hypermarkets in the domestic retail market accounts for a high percentage. The domestic retail market after the opening of the market for the past 1996 and grow to the spread of hypermarkets. However, events such as tasting events were increased due to intense competition among business condition as to attract more customers beyond price competition. Under these circumstances, it is important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asting events on consumer buying behavior. The impact on consumer buying behavior in order to verify factors tasting event by setting product standard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was set up as a model. As result, only one came out significantly to pay the hypothesis of various products depending on the origin of the factors that increase the amount available. This is seen as a supermarket tasting event at the origin of products, and transparency, but also for recently imported foods for consumers who have negative thoughts, mainly domestic product tasting events Mart's sales continue to increase to attract more customers shall be deemed to be one wa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