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Operation Model of On-site Environmental Management Council to Enhance Eco-friendliness in Public Construction Sites

공공 건설현장의 친환경성 제고를 위한 현장환경관리협의회 운영 모델

  • 손정락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 박성식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 전명훈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 송상훈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Received : 2012.09.14
  • Accepted : 2012.10.18
  • Published : 2012.10.30

Abstract

The trends of Green growth and environmentally-friendliness came to be the key development indicator for sustaining global environment for the future. Korean government reflected these trends in the main flows of the national development index. Korean construction industry is concentrating investment on fields related to these trends such as technologies for carbon dioxide deduction, materials or products for environmentally-friendly building and alternative energy development, as well. However, efforts to follow these trends during the construction process as a step for production phrase are not being considered enough. In this study, we analysed current status and points to be improved of on-site environment management by surveying major project owners and representatives of the environmental affairs in the leading companies of those fields. Also, we suggested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operation model as a solution for enhancing environmentally-friendliness for systematic approach to manage on-site environment in public construction sites. In addition to these solutions, further approaches such as shifting paradigm of project owners and contractors, securing workforce and practical budget for efficient management activities, developing environmental management manuals, setting standards for evaluation of activities are needed for the stable settlement of on-site environmental management.

저탄소 녹색성장 및 친환경 트렌드는 미래 지구환경 보존의 핵심 개발지표이며, 정부도 저탄소 녹색성장 및 친환경성 제고를 국가발전의 주요지표로 설정하고 강력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는 상황이다. 국내 건설산업 관련분야에서도 탄소저감 및 친환경 자재와 제품 개발, 대체에너지 개발 등에 대해서는 집중적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생산단계인 건설과정에서의 저탄소 및 친환경적 노력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표적 발주기관 및 환경관리 선도업체 환경관련 업무담당자와의 의견조사를 통하여 현재의 현장환경관리 실태와 문제점을 분석하고, 향후 체계적인 현장 환경관리를 위한 방안을 조사하여, 공공건설 현장의 친환성성 제고를 위한 방안의 일환으로 현장의 체계적 환경관리 활동 전개를 위한 조직 구성 및 운영 모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와 더불어 효율적 환경관리 활동을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환경관리에 대한 수행주체들의 인식전환과 전담인력 배치, 환경관리비의 현실화, 그리고 효율적 업무처리를 위한 지침수립과 환경관리 활동에 대한 평가방법 등에 대한 검토도 추가적으로 필요한 시점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2004), 건설환경관리 표준시방서.
  2. 국토해양부(2006), 제2차 건설환경기본계획.
  3. 국토해양부(2009), 제4차 건설기술진흥기본계획(수정계획).
  4. 국토해양부(2010), 건설공사 시공평가 지침(국토해양부 고시 제2010-1044호(2010.12.30. 제정))
  5. 국토해양부, 건설기술관리법등 관련 법령 및 고시.
  6. 김경래(2007), 환경친화형 통합 공사관리 기술, 친환경건축 기술, 친환경건축 연구센터.
  7. 김한서(2009), "건설폐기물 적정처리를 위한 관련 법령 및 제도 현황",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지.
  8. 녹색성장위원회(2009), 녹색성장 국가전략 및 5개년 계획.
  9. 대한건설협회(2008), 건설현장 환경관리 업무편람.
  10. 박지호, 김태경, 김경래(2007), "건설 공종별 친환경 시공 관리방안", 한국건설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1. 한국건설자원협회(2009), 건설폐기물의 적정처리.재활용 촉진을 위한 업무처리요령.
  12. 한국토지주택공사(2010), 환경관리 지침, 한국토지주택공사 건설관리처.
  13. Center for Construction Innovation, List of Headline KPIs & Environment - Construction Process Performance.
  14. USGBC (2009), LEED 2009 New Construction and Major Renovations, USGBC.
  15. (社)日本建設業団体連合会 (2007), (社)日本土木工業協会, (社)建築業協会, 建設業の環境自主行動計画(第4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