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Evaluation of Resistances in Porous Asphalt Concrete Mixtures due to Repeated Cyclic Freeze-Thawing

배수성 아스팔트콘크리트 혼합물의 반복 동결융해 저항성 평가

  • 조신행 (경기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 김낙석 (경기대학교 토목공학과)
  • Received : 2011.02.18
  • Accepted : 2011.08.19
  • Published : 2012.02.29

Abstract

More and more pavements are suffering from damage these days due to the below-zero winter temperatures and frequent snowfalls. From this research, the freeze-thawing mechanisms of pavements will be observed, and the freeze-thawing resistance of porous asphalt concrete mixture is to be evaluated according to various assessment methods. The investigation was conducted through applying rigid and flexible pavements to freeze-thawing resistance experiments, which include various experiments such as deformation rate measurements, Lottman tests, repeated cyclic freeze-thawing experiments, stripping resistance tests and so on. Test results revealed that the porous asphalt concrete had less deformations according to temperatures compared to dense-graded asphalt concrete due to the 20% void gap.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freeze-thawing repetition experiments which are effected by moisture, the porous asphalt concrete mixture showed superior resistance to repeated cyclic freeze-thawing compared to other asphalt concrete mixtures due to the drainage and the voids within the specimen.

겨울철의 영하의 날씨와 잦은 눈으로 인해 도로 포장의 파손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 포장의 동결융해 메커니즘을 살펴보고, 다양한 평가 방법을 통해 배수성 아스팔트 포장의 동결융해 저항성을 평가하였다. 동결융해 저항성의 평가방법은 강성 포장과 연성 포장이 각각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평가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변형률의 측정, 수정 로트만 실험, 반복 동결융해 실험, 표면 박리 저항성 실험과 같은 강성 포장과 연성 포장의 대표적인 동결융해 저항성 실험을 적용하여 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배수성 아스팔트 콘크리트는 20%의 공극으로 인해 밀입도 아스팔트 콘크리트에 비해 온도에 따른 변형이 작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수분의 영향을 받는 동결융해 반복 실험에서도 수분의 원활한 배수와 수분의 동결 시 발생하는 팽창압을 분산시킬 수 있는 충분한 공극으로 인해 다른 종류의 아스팔트 혼합물에 비하여 동결 융해 저항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기상청(2010) 기상월보 2010.01. 11-1360000-000002-06, 기상청.
  2. 이병덕 등(2005) 제설제 종류에 따른 융빙성능 및 콘크리트에 미치는 영향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도로학회 논문집, 한국도로학회, 제7권, 4호, pp. 113-123.
  3. 전순제 등 (2010) 도로포장재료의 동결융해 저항성 평가.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논문집, 한국방재학회.
  4. 정두회(1996) TSRST를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저온균열특성평가.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16권 제III-5호, pp. 401-414.
  5. Simonsen, E. and Isacsson, U. (1999) Thaw weakening of structures in cold regions, cold regions science and technology vol.29, Elsevier Science, pp. 135-151 https://doi.org/10.1016/S0165-232X(99)00020-8
  6. NRMCA (2004) Freeze-thaw resistance of pervious concrete, National Ready mixed Concrete Association.
  7. AASHTO T 283, Resistance of compacted hot mix asphalt to moisture- induced damage.
  8. ASTM C 666, Resistance of concrete to rapid freezing and thaw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