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교통운영체계선진화의 탄소감축 효과 연구

Carbon Reduction Effect of Traffic Operational Methods Itemized in National Project for Advanced Traffic Operation and Management

  • 김원철 (충남발전연구원 지역.도시연구부) ;
  • 김진태 (연세대학교 도시교통과학연구소)
  • 투고 : 2011.03.07
  • 심사 : 2011.11.11
  • 발행 : 2012.02.29

초록

대통령자문 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와 경찰은 교통운영체계선진화방안을 통하여 신호교차로에서의 효율적인 운영을 도모하고 있다. 신호교차로의 효율적인 운영으로 정체상황이 개선되는 경우 배기가스 및 탄소배출 감소가 기대되나 지금까지 온실가스 저감효과에 대한 관심이 도로교통 운영부문에서 소외되어 교통운영체계선진화로 인한 탄소배출량 감소 효과가 공학적으로 검토된 바 없다. 본 연구는 교통운영체계선진화방안으로 추진되는 전체 19개 사업수행 항목 중 경찰이 주관하여 추진하는 운영항목으로부터 기대되는 탄소배출량 분석방법 및 연(年) 단위 전국 탄소배출량 저감효과를 제시한다. 분석결과 2010년을 기준으로 우리나라 전체 도로교통 부문에서 탄소배출량을 기준으로 보행자작동신호운영 도입으로 12.31% 감축, 점멸신호운영 도입으로 3.27% 감축, 신호연동 도입으로 2.44% 감축, 직진우선 도입으로 0.97% 감축, 비보호좌회전 도입으로 0.81% 감축, 좌회전감응 도입으로 0.72% 감축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presidential council on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the national police agency have initiated a national project to refresh the road traffic control and operation systems to increase operational efficiency at signalized intersections. It would reduce the number of stops and delay of vehicles at intersections and thus mitigate congestion and emission. Although significant reduction of carbon is expected as a consequential result, such effects has yet been studied since traffic operation was behind of interest in the field of green transportation where planning was mainly involved. This paper delivers the macroscopic effects of carbon reduction of the selected items of the national project: the ones managed by the police agenc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tudied items yield significant reduction of carbon: pedestrian push button operation, flashing signal operation, progression, lagging left turns, permitted left turn, and actuated left-turn operation would reduce 12.31%, 3.27%, 2.44%, 0.97%, 0.81%, and 0.72% of the total amount of carbon emitted a year in a whole transportation sector, respectively.

키워드

참고문헌

  1. 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2009) 12차 회의 보도자료.
  2. 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2010) 우회전 때 꼭 신호등 확인하세요, 대한민국정책포털, 2010.01.14.
  3. 국토해양부(2010) 국토해양통계누리.
  4. 국토해양부(2010) 자동차관리현황 및 자동차등록현황.
  5. 기후변화홍보포털(2010) http://www.gihoo.or.kr/portal/index.jsp
  6. 김영철(2009) 세계 탄소시장 현황과 정책 및 우리의 대응방안, 봄호, 사단법인한국가스연맹, pp. 24-32.
  7. 김태호, 이수일, 김영일, 노정현(2010) 도로교통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방법론 비교연구, 대한토목학회지, 대한토목학회, Vol. 58, No. 9, 통권365호, pp. 67-73.
  8. 박용남(2007) 간선급행버스시스템과 지속가능도시: 기후변화협약에 대응한 전략을 중심으로, 지속가능도시연구센터.
  9. 박진영, 조준행, 김동준(2008) 교통부문 청정개발체제(CDM) 활성화방안, 한국교통연구원
  10. 빈미영(2009) 교통부문 청정개발체제(CDM)사업의 과제와 전망, 경기개발연구원
  11. 서울지방경찰청(2009) 2009 서울특별시 교통량조사자료.
  12. 에너지관리공단(2007) 기업을 위한 CDM사업 지침서.
  13. 이용택, 이태경, 조성준(2005) 서울시 도로교통량조사체계, 도로교통 제99호 봄, pp. 44-57.
  14. 한국석유공사 석유정보망(2010) http://www.petronet.co.kr/ main2.jsp
  15. IPCC (2010) Task Force on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ies, http://www.ipcc-nggip.iges.or.jp/public/2006 gl/vol2.html
  16.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2010) http://unfccc.int/
  17. United Nation (2010a) http://unfccc.int/
  18. United Nation (2010b) http://cdm.unfccc.i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