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Bundled SW Design with Application Method of Diary Study

번들소프트웨어 디자인을 위한 다이어리 스터디 적용 연구

  • Received : 2012.09.03
  • Accepted : 2012.10.29
  • Published : 2012.11.28

Abstract

Recently as the user experience's importance has been emphasized, there has been many tries of various research methodology in order to understand the user. Specially, as the political investigation method's user understanding method based on the statistical analysis so far has encountered a limit, there has been a continuous tendency to try to introduce a humanitarian or cultural anthropological methodology. As part of this effort, there has been many tries of various approach methods of the Ethnography which is the cultural anthropological typical research methodology, but among those the Diary Study Method is mentioned as one of the effective methodologies. Therefore this thesis applies the Diary Study Method to the notebook PC bundle SW's attitude research and tries a deep rooted research about the user attitude. Also centered to the project of understanding the notebook PC bundle SW's user receptivity. it shows a specific example of the Diary Study applied to the user understanding. Through this process, we will examine the summary about the Ethnography research method, and will discuss an effective research methodology by through the process of analyzing and deducting the user inclination by applying and designing the Diary Study to the project. That is to say, it was progressed by actually applying the research methodology through a specific case, with the purpose of breaking away from the textbook discussion and progress with an application aspect discussion. Through the current research, we will verify an active user-inclined process about the user's notebook PC SW, and it is expected to be useful in establishing a SW UX strategy and distribution related to the bundle software.

최근 사용자 경험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사용자를 이해하기 위한 다양한 리서치 방법론들이 시도 되고 있다. 특히 그간의 통계적인 분석을 중심으로 하는 정량적 조사 방식의 사용자 이해 방법이 한계에 부딪히게 되면서 인문학적 또는 문화 인류학적인 방법론의 도입 시도들이 지속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런 노력의 일환으로 문화 인류학의 대표적인 리서치 방법론인 에스노그래피 형식의 다양한 접근 방법이 시도되고 있는데 그중 다이어리 스터디(Diary Study method)도 효과적인 방법론의 하나로 거론 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다이어리 스터디 방법론을 노트북 PC의 번들 SW의 사용자 태도 조사에 응용하여 적용함으로서 사용자 태도에 대한 심층적 연구를 시도 하였다. 또한 노트북 PC의 번들 SW의 사용자 수용도를 파악하는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다이어리 스터디가 사용자 이해에 적용된 구체적인 예를 보여준다. 이 과정을 통해 에스노그래피 리서치 방법에 대한 개괄을 알아보고, 프로젝트에 다이어리 스터디를 적용 설계하여 사용자 성향을 분석 도출 하는 과정을 통한 효과적인 리서치 방법론을 논의 하고자 하였다. 이는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연구 방법론을 실제 적용함으로서 교과서적인 논의에서 벗어나 실제 적용측면에서의 논의를 진행 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진행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사용자의 노트북 PC SW에 대한 적극적인 사용자화 과정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앞으로 번들 소프트웨어에 대한 배포 및 SW UX전략을 수립하는데 있어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종호, "사용자 중심 디자인 프레임워크에서 사용자 조사기법의 역할에 관한 연구", 디자인학연구, 통권 제56호, Vol.17, No.2, pp.77-86, 2004.
  2. J. F. George, "Researching life in e-society with diary studies," ECIS, p.69, 2006.
  3. 송지원, "디자인 문제 분석을 위한 사용자 조사 방법으로서의 사용자 참여적 방법의 활용에 대한 연구", 디자인학연구, 통권 제77호, Vol.21, No.3, pp.181-190, 2008.
  4. A. Crabtree and T. Rodden, "Domestic routines and design for the home. Computer Supported Cooperative work," The Journal of Collaborative Computing, Vol.13, pp.191-220, 2004. https://doi.org/10.1023/B:COSU.0000045712.26840.a4
  5. J. Reiman, "The diary study: A workplaceriented research tool to guide laboratory efforts," Proceedings of the SIGCHI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Amsterdam, The Netherlands pp.321-326, 1993.
  6. L. Palen and M. Salzman, "Voice-mail diary studys for naturalistic data capture under mobile conditions," CSCW '02, New Orleans, LA, USA, pp.87-95, 2002.
  7. 김현정, 이건표,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 리서치를 위한 에쓰노그래피 적용 방법에 관한 연구", 디자인학연구, 통권 제34호, Vol.13, No.1, pp.187-197, 2000.
  8. A. Crabtree and T. Rodden, "Domestic routines and design for the home. Computer Supported Cooperative work.," The Journal of Collaborative Computing, Vol.13, pp.191-220, 2004. https://doi.org/10.1023/B:COSU.0000045712.26840.a4
  9. W. Gaver, A. Boucher, S. Pennington, and B. Walker, "Cultural Probes and the Value of Uncertainty," Interactions, Vol.11, No.5, pp.53-36, 2004. https://doi.org/10.1145/1015530.1015555
  10. Niall Bolger, "Diary methods: Capturing life as it is lived," Angelina Daviis, and Eshkol Refaeli, Annual Review of Phychology, p.581, 2003.
  11. J. F. George, "Researching life in e-society with diary studies," ECIS 2006, p.70, 2006.
  12. L. Palen and M. Salzman, "Voice-mail diary studys for naturalistic data capture under mobile conditions," CSCW '02, New Orleans, LA, USA, pp.87-95, 2002.
  13. J. Reiman, "The diary study: A workplaceriented research tool to guide laboratory efforts," Proceedings of the SIGCHI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Amsterdam, The Netherlands pp.321-326, 1993.
  14. 하광수, "번들소프트웨어의 사용자 만족도 조사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통권 제12권, 제4 호, pp.216-224,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4.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