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ative Study on Components and Microstructure of Korean Bronze Mirror

한국 청동거울에 대한 미세조직 및 성분조성의 비교 연구

  • Hwang, Jin Ju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황진주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Received : 2011.09.30
  • Accepted : 2011.11.02
  • Published : 2011.11.30

Abstract

This study intended to identify the ratio of alloy, metallographic examination and hardness on the bronze mirrors excavated in Korea and made the distribution chart of the main components according to each artifact and then tried to compare the ratio of artifacts with that of 鑑燧之齊of Zhouli Kaogongji(周禮, 考工記). Through this research, the components distribution of bronze covered a wide rage but it can be divided into 2~3 groups. When it is categorized into 3 groups, one is the bronze mirror with 70-80% of copper, 15-20% of tin and less than 5% of lead. Another is the bronze mirror with 20%-30% of tin which gives the white luster on metal and the high hardness. The other is the bronze mirror with 60-70% of copper and 15-20% of tin but it has more than 10-15% of lead which causes less luster and the low hardness. It contains less tin than 33%(50%) of tin from 鑑燧之齊 according to the old record Zhouli Kaogongji(周禮, 考工記) of Zhou Dynasty. In Korea the bronze mirror with tin of 鑑燧之齊was never found yet except the case of artifacts analyzed by non-destructive analysis.

본 고에서는 우리나라에서 발굴된 청동거울에 대해 합금비율과 금속조직 및 경도를 살펴보고, 각 유물별 주성분 분포를 그려본 후, 주례고공기 "周禮" "考工記" 중 감수지제(鑑燧之齊)의 조성비와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청동거울은 비록 넓은 범위이지만 크게 두-세 그룹으로 나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구리 70-80%에 15-20%의 주석을 함유하고 납은 5% 미만 들어있는 청동거울과, 주석의 함량이 20%-30%로 매우 많아 경도가 높고 금속의 흰색 광택이 좋은 청동거울, 구리 60-70%에 15-20%의 주석을 함유하고 있지만 납이 10-15% 이상 들어있는, 경도가 낮고 광택이 좋지 않은 청동거울로 나뉘어 진다. 중국 주시대의 고문헌 "주례(周禮)" "고공기(考工記)"중 감수지제(鑑燧之齊)의 주석 33%(50%) 보다는 적은 양의 주석을 함유하고 있었다.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는 비파괴분석으로 분석된 유물을 제외한다면 감수지제(鑑燧之齊)의 주석이 함유된 청동거울은 발견되지 않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