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ognition of Forest Certification by Consumption Propensity an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Wood Cabinet Consumers

목재수납장 구매자의 소비성향 및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산림인증 인식도 조사

  • Shin, Hye-Jin (Dept. of Forest Environmental Resources, Graduate School, Gyeongsang National Univ.) ;
  • Kim, Eui-Gyeong (Div. of Environmental Forest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Insti. of Agric. & Life Sci.)) ;
  • Kim, Dong-Hyeon (Dept. of Forest Environmental Resources, Graduate School, Gyeongsang National Univ.) ;
  • Kim, Hyeon-Guen (Div. of Forest Economic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신혜진 (경상대학교 대학원 산림자원학과) ;
  • 김의경 (경상대학교 환경산림과학부(농업생명과학연구원)) ;
  • 김동현 (경상대학교 대학원 산림자원학과) ;
  • 김현근 (국립산림과학원 녹색경제과)
  • Received : 2011.10.04
  • Accepted : 2011.12.20
  • Published : 2011.12.30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figure out the recognition on forest certification by consumption propensity an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wood cabinet consumers. The mean score of recognition on SFM and FSC showed comparatively low, 2.25 and 2.20(5-point likert scale), from the analysis result on 88 valid questionnaires of 90. The respondents rate of eco and non eco-friendly group formed 80.7% and 18.2%, there is a significant gap between two groups on total questionnaires. The percentage of respondents recognizing on SFM and FSC was about 31% (eco-friendly), 5.6%(non eco-friendly, SFM) and 2.8%(non eco-friendly, FSC) within each group. It showed that the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n eco-friendly respondents were higher than the others about more 1.3 times in the married rate, average age and monthly householding income.

이 연구는 목재수납장의 잠재적 구매자를 대상으로 소비성향 및 사회 경제적 특성에 따른 산림인증의 인식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총 90부의 설문지 중 유효부수 88부를 분석한 결과, SFM과 FSC에 대한 전체 응답자의 인식도는 평균 2.25와 2.20(5점 리커트 기준)으로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친환경 그룹과 비친환경 그룹의 응답자는 80.7%와 18.2%의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모든 설문항목에 대해 그룹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각 그룹 내에서 SFM과 FSC를 인식하고 있는 응답자는 친환경 그룹이 약 31%, 비친환경 그룹이 5.6%(SFM)와 2.8%(FSC)를 차지하였다. 소비자 유형별 응답자의 사회 경제적 특성은 친환경 그룹의 기혼율과 평균연령 및 월평균 가계소득이 비친환경 그룹에 비해 약 1.3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

References

  1. Ewarld R. and M. Simula. 2003. Forest certification-an instrument to promote sustainable forest management?. J. Environ. Manage. 67: 87-98. https://doi.org/10.1016/S0301-4797(02)00191-3
  2. FSC. 2011. http://www.fsc.org.
  3. Shin, H. J., E. G. Kim, B. I. Yoo, and J. W. Seo, 2010. Development of criteria and indicators for forest management certification in Korea. Jour. Korean For. Soc. 99: 24-35.
  4. Virgilio M. V., R. P. Alan, and Richard Z.D. 1996. Certification of forest products: issues and perspectives. Island Press. Island Press. Washington, D.C. pp.253.
  5. 로하스인증 공식홍보사이트. 2011. LOHAS 가치를 추구하는 소비자의 특징. http://korealohas.or.kr.
  6. 산림포럼. 2008.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을 위한 산림인증제도의 국내외 현황과 자체 인증제도의 창설. pp.150.
  7. 서의훈. 2006. SPSS 12.0 한글판을 이용한 SPSS 통계분석. 자유아카데미. 파주. pp.500.
  8. 손철호. 2000. 지속적인 산림경영을 위한 산림인증제도(상). 산림. pp.8-15.
  9. 손철호. 2000. 지속적인 산림경영을 위한 산림인증제도(하). 산림. pp.12-18.
  10. 양병화. 2007. 다변량 자료분석의 이해와 활용. 학지사. 서울. pp.402.
  11. 이은영. 2005. 공동주택의 환경친화적 리모델링에 대한 거주자 의식 조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106.
  12. 이종환. 2009. 그린마케팅에 대한 소비자 태도에 관한 연구.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103.
  13. 정희석. 2004. 목재와 인류생활. 서울대학교출판부. 서울. pp.300.
  14. 차준희. 2003. 산림인증제에 대한 이해당사자들의 인식.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130.
  15. 한국목재신문. 2004. 21세기 목재문화운동의 추진방향. http://www.woodkore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