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Communication Factor in the Chinese augury bone

은상(殷商)시기 갑골문(甲骨文)에 나타난 커뮤니케이션 속성(屬性)

  • Received : 2011.06.07
  • Accepted : 2011.06.25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a study of communication factor in the Chinese augury bone, as a communication text, a communication history text and a communication thought text, in terms of sender message channel audience effects, interdisciplinary research. In many respects,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the Chinese augury bone have been the generic references of the Oriental culture. Based on various research results about The Chinese augury boney as a communication text, this paper explores factors of communication text related with meta-communication as the definition of communication and a structure of communication, a method of communication. The Chinese augury bone consider graphic element as communication tool, its manager as sender or communicator, the record as message, the bone as channel, its reader as audience, text understanding and behavior as effects, the augury bone producer as journalist, the tying bone in a bundle as old style book. In the Chinese augury bone, one property of communication thought is that the political ideology, which is related to the strong and weak of the graphic style and determines the naming method of kings.

갑골문이 커뮤니케이션 속성을 가진 커뮤니케이션 텍스트인 이유는 갑골문니 커뮤니케이션 개념 및 구성 요소 모두를 갖추고 있는 인간의 커뮤니케이션 현상으로서 커뮤니케이션 연구 대상으로 충분히 설명 가능하기 때문이다. 송신자는 갑골에 새길 내용을 정한 사람이고, 메시지는 새겨진 문자이며, 매체는 거북이나 짐승의 뼈이고, 수용자는 갑골문을 읽은 사람이며, 효과는 독해를 통한 인지(認知) 및 그에 따른 행동이고, 커뮤니케이션 상황은 이러한 일련의 시공간적 환경 등으로 설명할 수 있는 것이 그 근거이다. 중국 은상(殷商)시기의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서 갑골문이 문자성 및 전래성을 갖는다는 것은 커뮤니케이션 역사 텍스트로서 손색이 없음을 뒷받침한다. 갑골문은 커뮤니케이션 도구인 문양 부호 문자로서의 속성을 갖추고 있고, 왕실 기록과 같은 내용 면에서 당시 사회 현상 전반이라는 메시지나 콘텐츠를 담고 있으며, 갑골 관리자였던 정인(貞人)이나 구인(龜人)의 역할은 오늘날 언론인의 역할과 유사하고, 문서처럼 정리 분류하여 체계적으로 관리 보관되었다는 점 등 또한 이를 뒷받침한다. 당시 사회의 의식과 가치관을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갑골문은 커뮤니케이션 사상사 연구의 텍스트가 된다. 갑골문 서체 및 그 힘의 강약 변화가 종교적 가치관의 강약에 따라 달라졌다든가, 갑골문 기록인 왕명에서 정치 이데올로기를 분석해 낼 수 있다든지, 갑골문에 새겨진 10간 12지가 음양오행설과 결부되어 중국 철학 원리의 구성 요인이 된 것 등이 그 근거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갑골문에 대한 연구 시각 넓히기를 위해 던지는 화두에 그치는 초보적 시론인 만큼, 분석의 심층성 및 방법론의 정치성 등에서 부족한 부분은 갑골문에 대한 학제간 연구, 인구의 양적 확산 및 질적 발전으로 인하여 보다 생산적으로 극복 가능하리라고 믿기 때문에 이후의 연구 과제로 남겨 둔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동아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