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Visual Access Opportunity Analysis of Neighborhood Park Users using Space Syntax Theory - Focused on Cheongju City -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근린공원 시각적 접근기회 분석- 청주시를 중심으로 -

  • Lee, Tae-Ho (Dept. of Environmental and Urban Engineering, Graduate School, Chungbuk University) ;
  • Ban, Yong-Un (Dept. of Urban Engineering, Chungbuk University) ;
  • Yoo, Nam-Hoon (Dept. of Environmental and Urban Engineering, Graduate School, Chungbuk University)
  • 이태호 (충북대학교 환경도시공학과) ;
  • 반영운 (충북대학교 도시공학과) ;
  • 유남훈 (충북대학교 환경도시공학과)
  • Received : 2011.07.11
  • Accepted : 2011.08.25
  • Published : 2011.08.31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visual access opportunities of neighborhood park users using the Space Syntax theory.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27 neighborhood parks were selected and 27 axial maps drawn according to the spatial configuration of the sites. Based on the axial map data, this study has calculated some specific space syntax indices, including Connectivity, Integration, and Intelligibility using the Axwoman ver 3.0 based on the Arcview 3.2 application. The value of the representative indices were used to examine visual access opportunities presented by the park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wo aspects: one focusing on the entire space and another focusing on only the main entrance of the parks. The former used integration and intelligibility values and the latter used connectivity and integration values to evaluate the visual access opportunities of the sites. As a result, this study found that some parks, including Joongang, Balsan, and Sangdang, have high visual access opportunities in terms of the spatial configuration surrounding the park, which shows an integration value higher than 2, and also having intelligibility values higher than 0.7. This is the result of the grid land use pattern surrounding the parks and the straight roads that are closely linked to the main entrances of the parks. It is expected that this methodology and results will be used for locating neighborhood parks during the urban planning stage as providing reasonable evidence.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 근린공원을 대상으로 주변 공간의 가로망 형태에 따른 공원의 시각적 접근기회를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을 위해 도보로 이용이 가능한 도보권 및 근린 생활권 공원 27곳을 최종 선정하였다. 공원을 중심으로 각 유치거리에 따라 GIS를 이용하여 영향권을 설정(buffering)하였으며, 설정된 구역에서의 공간배열 특성을 가로망 중심으로 파악하고 공간구문론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수행을 위해 Arcview 기반의 Axwoman Ver3.0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공간구문론에서 제시하는 연결도, 통합도 등의 지수를 통해 공원의 접근기회를 파악하였으며, 정량적 수치들이 가지는 의미는 관련 문헌고찰을 통해 해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공원 유치거리에 따른 공간의 전체적인 배열 특성에 대해서는 통합도, 명료도 값을 활용하였으며, 각 공원의 주출입구 공간은 연결도, 통합도 값을 이용해 분석했다. 분석 결과, 전체공간에서는 대부분의 통합도 값이 2보다 낮았으나, 명료도의 경우 0.7이상의 값을 가진 공원이 10곳으로 나타났다. 공원의 주출입구 공간에 대한 접근기회는 주출입구 공간의 통합도를 중심으로 살펴봤으며, 도보권 공원에서는 사직 2공원이, 생활권 근린공원에서는 중앙공원과 발산공원 등이 상대적으로 접근기회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기존의 공원 접근성에 관한 연구가 시점과 종점간의 물리적 거리 및 환경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데 반해, 공원을 둘러싼 공간 배열 특성을 고려한 접근성 분석이 이루어졌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결과는 도시공원의 입지계획에 있어 합리적 근거를 부분적으로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민규, 임경화, 김영욱, 박영기(2001) 상암 지구의 도로 이용성과 지구 활용성 분석에 대한 연구: 공간 구문(Space Syntax)방법론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지 17(9): 227-234.
  2. 박종민, 김민주, 장태현(2008) 산간마을의 접근성 변화에 의한 공간구문론적 고찰.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6(4): 99-105.
  3. 성현찬, 민수현(2003) 도시녹지의 기능 및 효과에 대한 실증적 연구: 도시 가로수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1(2): 48-57.
  4. 이규인(1995) 공간구문모델에 의한 단지계획 대안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9(9): 81-90.
  5. 이승환(2008) 공간구문론을 활용한 공공시설의 복합화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6. 이춘희, 이주형(2006) 도시접근성 분석에 의한 공공시설입지정책의 시사점. 국제지역연구 22(1): 113-133.
  7. 임승빈, 허윤정(1995) 도시녹지의 시각적 접근성 측정모델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3(3): 1-14.
  8. 최윤경, 민병호(1998) 공간구조와 학습이 길찾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14(7): 53-60.
  9. 허미선, 진양교(1996) GIS를 활용한 서울시 도시근린공원의 접근성 지표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4(30): 42-56.
  10. Bafna, S.,(2003) Space syntax: a brief introduction to its logic analytical techniques. Environment and Behavior 1: 17-29.
  11. Beach, L.,(1981) The problem of aggregation and distance for analyses of accessibility and access opportunity in location-allocation models. Environment and Planning A. 13. 955-978. https://doi.org/10.1068/a130955
  12. Chiesura. A.(2004) The role of urban parks for the sustainable city.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68: 129-138. https://doi.org/10.1016/j.landurbplan.2003.08.003
  13. Conway, D. J.(1987) Human Response to Tal Buildings. Dowden, Hutchinson and Ross: 112-130.
  14. Franics, M.(1989) Control as a dimension of public-space quality: Public place and space.
  15. Hansen, W. G.(1959) How accessibility shapes land use. Jurnal of the American Institute of Planners. 25: 73-76. https://doi.org/10.1080/01944365908978307
  16. Hillier, Bill(1996) Space is the machin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7. Hillier, Bill and Julienne Hanson(1984) The social logic of space. Bartlett School of Architecture and Planning University College London.
  18. Penn. A., Hillier, B. Banister, and D. Xu, J.(1998) Configurational modeling of urban movement networks, Environment and Planning B: Planning and Design 25: 59-84. https://doi.org/10.1068/b250059
  19. Reilly, W. J.(1929) Methods for the Study of Retail Relationships. University of Texes Bulletin. Ausin. TX: University of Texas.
  20. White, A. W.(1979) Accessibility and public facility location economic geography. Traffic Quarterly 27(2).

Cited by

  1. Studies on Usage Patterns and Use Range of Neighborhood Parks: Focused on ′Regional Area Parks′ in Seoul, Korea vol.15, pp.3, 2016, https://doi.org/10.3130/jaabe.15.4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