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modification of fantastique mode in You, Sijin's comic strips

유시진 만화의 환상성 변이 연구

  • Received : 2011.08.15
  • Accepted : 2011.09.14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The fantastic has had various semantic layers between 'the Marvelous' and 'the Uncanny', these has been assorted by historical and synchronic aspects. The Marvelous has been harmonious and abundant world of fantasy which includes metaphysical system and all tradition of magical fence. The Uncanny has been a subversive fantasy world which shows absurdity and negative truths of this very world by modern consciousness. In comics, because of the media features, it is more useful the fantastic than the realistic. However, the relationship about comic and fantasy has rarely discussed in detail. So we has wanted to understand the specificities of affiliation with the Marvelous and with the Uncanny. Then it has been necessary to check the works of You, Sijin the comic book writer, for we ought to know how the affiliations with fantasy could influence each works' styles, and themes. You, Sijin started her works with sensibility of uncanny, but she tried to develop the theme "uptight" and devoted to establish "the Secondary World" stably. However, at Shin Meoung Ki(神明記) fantasy world overwhelmed the theme. After that, in The Closer and On, she crashed down the uptight feeing and made new self-consciousness by mixed fantasy style. The Closer and On has been the turning point of writer You, Sijin. Since than her works has showed a propensity for the Uncanny.

환상은 역사적인 측면과 공시적 측면을 살펴 볼 때, 크게 경이와 기괴의 두 가지 계열성을 가지며 다양한 의미체계를 가진다. 경이는 고전적인 형이상학체계와 마법담의 전통을 한 축으로 하는 조화롭고 풍부한 환상의 세계이고, 기괴는 근현대의 문제적 의식으로부터 출발하여 부조리와 부정적 진실을 발견하고자 하는 전복적인 환상 세계이다. 만화에서는 매체적 특징상 리얼리티보다 환상을 사용하기가 유리하다. 그러나 환상과 만화의 연관관계가 구체적으로 논의된 바는 드물다. 본 논문은 환상에 대해 기괴와 경이의 계열성으로 이해하는 데서부터 출발하여 기괴와 경이의 다양한 조합을 드러낸 만화작가 유시진의 작품들의 경향을 살펴봄으로써 각 계열의 환상이 만화의 개별 작품의 스타일과 주제의식에 어떻게 영향력을 주고받는지 알아보았다. 작가 유시진은 현대 작가답게 기괴 계열의 감성으로 작품을 시작하였으나 자의식과 관련된 주제를 발전시켜가면서 동시에 견고한 2차세계의 경이계열 환상세계를 구축하고자 노력했다. 그러나 "신명기"에서 환상세계가 작품의 주제를 압도하는 양상을 겪었다. 이후 작품인 "폐쇄자"와 "온"에서는 자의식을 붕괴하고, 새롭게 만들어가는 과정을 혼합된 환상양식을 통해 이루었고, 이러한 터닝 포인트 이후 유시진의 작품은 주제의식과 환상양식에 있어서 보다 일관되게 기괴 계열의 성향을 드러내고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