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온

Search Result 19,093, Processing Time 0.051 seconds

기술현황분석 - 초전도 케이블 액체질소 냉각용 극저온 냉동기 기술

  • Park, Seong-Je;Hong, Yong-Ju;Go, Jun-Seok;Kim, Hyo-Bong
    • 기계와재료
    • /
    • v.25 no.3
    • /
    • pp.106-119
    • /
    • 2013
  • 초전도 전력기기는 초전도체를 극저온으로 냉각, 전기저항이 없는 초전도 고유의 현상을 이용하여 중전 전력기기의 열손실 저감, 소형화 및 신뢰성 향상을 가능케 하며, 최근에는 고온 초전도 재료의 기술 수준이 향상되어 초전도 응용 영역이 확대되고 있다. 초전도 케이블을 포함한 초전도 전력기기는 운전 조건인 극저온 환경($-150^{\circ}C$이하)를 조성하기 위해 극저온 냉동기 기술이 핵심적인 기술이다. 극저온 냉동기는 냉각 용량에 따라 소용량(수~수십 W), 중용량(수백 W~수 kW), 대용량(수십 kW 이상)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초전도 전력기기용 냉각시스템은 주로 중용량 극저온 냉동기의 활용도가 매우 높다. 현재 상용화된 극저온 냉동기를 분석하면, 중용량 극저온 냉동기로는 스터링 극저온 냉동기가 가장 적합하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중용량 스터링 극저온 냉동기 기술에 대한 개발 현황을 살펴보도록 한다.

  • PDF

Thermal Properties of Indirect Ceramic Moxibustion (온구기의 연소 특성에 관한 고찰)

  • Lim, Jin-Woong;Kim, Hyun-Ho;Park, Young-Bae;Lee, Sang-Hoon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v.29 no.1
    • /
    • pp.9-14
    • /
    • 2012
  • 목적 : 뜸 연소 실험을 통해 간접구의 일종인 온구기의 연소 특성을 조사하였다. 방법 : 온구기를 유리판 위에 놓고 연소하여 50분간 온도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총 20개의 뜸봉을 연소하여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평균 온도, 최고 온도, 최고 온도 도달 시간, 최고 온도 지속 시간을 계산하였다. 또 혈류량을 증가시킨다고 보고된 온도($38^{\circ}C$)에 도달하는 시간, 그 이상의 온도로 지속되는 시간, C-fiber의 활성화를 통해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된 온도($42-50^{\circ}C$)에 도달하는 시간과 그 범위 내의 지속시간을 계산하였다. 결과 : 평균 최고온도는 $50.4^{\circ}C$이고 평균 도달시간은 1,007초, 평균 지속시간은 27초였다. 평균최고 온도는 보고된 다른 간접구와 유사하였으나 평균 도달시간은 더 길었다. $38^{\circ}C$에 도달하는 평균시간은 410초이고 지속 시간은 1,813초였다. $42-50^{\circ}C$에 도달하는 평균시간은 521초이고 지속시간은 990초였다. 결론 : 온구기는 연소 특성이 보고된 다른 종류의 뜸보다 더 오랜 시간 동안 안정적인 열자극이 가능하여, 뜸치료의 임상 활용의 폭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emperature variation due to ultrasonic absorption in protein (초음파 흡수에 의한 단백질에서의 온도 변화 특성)

  • 신동욱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3.06a
    • /
    • pp.159-164
    • /
    • 1993
  • 초음파 흡수에 의한 단백질에서의 온도 변화 특성을 관측하기 위하여, 간단한 조직의 형태인 계란 흰자와 계란 흰자의 주성분인 물과 알부민 수용액을 시료로 선택하여, 초음파 흡수에 의한 온도 변화 특성을 물리 음향학적으로 관측하였다. 수 MHz의 초음파를 집속형 변환기에서 연속파의 형태로 시료에 투사하였을 때, 한정된 시료에서의 온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물과 알부민 성분에 의한 온도 증가 효과는 미미함을 알 수 있었다. 초음파 흡수에 의한 계란 흰자에서의 온도 변화는 단백질의 주성분인 알부민에 의한 효과보다는, 단백질을 구성하고 있는 각 성분들의 결합에 의한 효과가 큼을 알 수 있다. 이들 결과에 대한 이론적 검토로부터 초음파 흡수에 의한 인체내 온도 변화 및 부작용에 대한 초음파 강도의 안전기준의 토대 마련이 가능함을 제시하였다.

  • PDF

Comparative Analysis of Medical Ontology System (의학분야의 온토로지 시스템 비교분석)

  • 이현실;이두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02.08a
    • /
    • pp.279-286
    • /
    • 2002
  • 미래의 정보시스템에서는 온토로지가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이다. 최근 의학분야에서도 임상의 지식관리와 의학정보검색의 효율화를 위해 온토로지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의학 분야에서 개발된 온토로지를 비교 분석하여 특징을 파악하고 의학정보시스템의 활성화를 위한 온토로지 구축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PDF

LIQUID FLOW AND EVAPORATION SIMULATION OF CRYOGENIC FLUID IN THE WALL OF CRYOGENIC FLUID CARGO CONTAINMENT SYSTEM (극저온 유체 화물창 방벽 내의 액체유동 및 기화 시뮬레이션)

  • Lee, Hee-Bum;Park, Bum-Jin;Rhee, Shin-Hyung;Bae, Jun-Hong;Lee, Kyung-Won;Jeong, Wang-Jo;An, Sang-Jun
    • 한국전산유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3a
    • /
    • pp.308-315
    • /
    • 2008
  • 극저온 유체를 운반하는 선박의 화물창은 보통 1차 방벽과 2차 방벽으로 구성되어 있다. 1차 방벽에 소량의 극저온 유체의 누출이 생기더라도, 액밀이 되는 2차 방벽에서 추가적인 극저온 유체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2차 방벽에 추가적인 손상이 생길 경우 유리솜으로 만들어진 Flat Joint를 거쳐 선체내벽까지 극저온 유체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게 된다. 본 연구의 관심사는 2차 방벽의 손상 정도에 따라, 그리고 누출되는 극저온 유체의 양에 따라, 내측선체에 얼마나 영향이 미치는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극저온 유체를 운반하는 선박의 화물창을 구성하는 2차 방벽에 구멍을 뚫어 Flat Joint 사이로 극저온 유체가 흘러 들어가도록 격자를 생성한 후, CFD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극저온 유체의 누출에 대한 계산을 수행 하였으며 이를 실험 결과와 비교 분석 하였다. 실험과 계산 결과를 살펴보면, 극저온 유체량에 따라 내측 선체에의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LIQUID FLOW AND EVAPORATION SIMULATION OF CRYOGENIC FLUID IN THE WALL OF CRYOGENIC FLUID CARGO CONTAINMENT SYSTEM (극저온 유체 화물창 방벽 내의 액체유동 및 기화 시뮬레이션)

  • Lee, Hee-Bum;Park, Bum-Jin;Rhee, Shin-Hyung;Bae, Jun-Hong;Lee, Kyung-Won;Jeong, Wang-Jo;An, Sang-Jun
    • 한국전산유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10a
    • /
    • pp.308-315
    • /
    • 2008
  • 극저온 유체를 운반하는 선박의 화물창은 보통 1차 방벽과 2차 방벽으로 구성되어 있다. 1차 방벽에 소량의 극저온 유체의 누출이 생기더라도, 액밀이 되는 2차 방벽에서 추가적인 극저온 유체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2차 방벽에 추가적인 손상이 생길 경우 유리솜으로 만들어진 Flat Joint를 거쳐 선체내벽까지 극저온 유체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게 된다. 본 연구의 관심사는 2차 방벽의 손상 정도에 따라, 그리고 누출되는 극저온 유체의 양에 따라, 내측선체에 얼마나 영향이 미치는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극저온 유체를 운반하는 선박의 화물창을 구성하는 2차 방벽에 구멍을 뚫어 Flat Joint 사이로 극저온 유체가 흘러 들어가도록 격자를 생성한 후, CFD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극저온 유체의 누출에 대한 계산을 수행 하였으며 이를 실험 결과와 비교 분석 하였다. 실험과 계산 결과를 살펴보면, 극저온 유체량에 따라 내측 선체에의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특집 : 극한환경재료기술 - 초고온 세라믹 복합 재료 개발현황

  • Lee, Se-Hun;Kim, Hae-Du
    • 기계와재료
    • /
    • v.21 no.4
    • /
    • pp.30-37
    • /
    • 2010
  • 최근 산업의 고도화에 따른 부품 소재의 고성능화에 따라 기존의 고온 세라믹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으로 초고온 세라믹 재료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초고온 세라믹은 대부분 붕화물이나 탄화물인 비산화물 세라믹으로 3000도 이상의 녹는점을 갖으며 2000도 부근에서는 사용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재료는 다른 세라믹들과 마찬가지로 취성파괴 거동을 나타내며, 이를 보완하기 위한 섬유강화 복합재료화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고온용 세라믹 장섬유와 세라믹 복합재료, 그리고 초고온 세라믹의 개발 현황과 산업화 전망을 정리하였다. 또한 초고온 세라믹의 발전 방향을 전망하였으며, 재료연구소에서 수행중인 초고온 세라믹의 연구 활동에 대해 간략히 언급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Cryogenic Oxygen Line Manufacturing Process for Liquid Rocket Engine (액체로켓엔진 극저온 산화제 배관 제작공정 개발)

  • Kim, Jin-Hyung;Cho, Hwang-Rae;Bang, Jeong-Suk;Rhee, Byung-Ho;Yoo, Jae-Han;Moon, Il-Yoon;Lee, Soo-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11.11a
    • /
    • pp.62-65
    • /
    • 2011
  • 액체로켓엔진용 극저온 산화제 고압 배관 기술 개발을 위해 시제품을 제작하였다. 기술 개발 시제품은 체결용 플랜지, 직관, 곡관, 벨로우즈, 분기구로 구성하였다. 액체로켓엔진용 극저온 산화제 고압 배관은 터보펌프에서 토출된 고압의 극저온 산화제를 연소기로 공급하는 경로이므로 극저온, 고압의 작동환경에서 구조적 안정성을 가져야 한다. 따라서 본 제작공정 개발에서는 극저온을 고려한 구조해석을 수행하여 적합한 소재를 선정하였으며, 공정개발과 특수공정을 적용하여 시제품을 제작한 후 구조강도 시험을 수행하였다. 본 개발을 통해 액체로켓엔진에 적용되는 극저온 산화재 고압배관을 위한 기술적 기반과 소재 응용기술, 향후 고성능 대형 액체로켓엔진에 적용하기 위한 공정개발을 완료하였다.

  • PDF

An First Order Approximiate Analytical Solution to Predict Qualitativ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Stirling Enging (Stirling기관(機關)의 성능예측(性能豫測)을 위한 1차원(次元) 근사해석(近似解析))

  • Kim, Tae Han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v.9
    • /
    • pp.87-94
    • /
    • 1991
  • An approximate analytical method to predict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the stirling engines in a preliminary design stage was investigated. In basic equations proposed by walker, typical temperatures of working fluids in expansion and compression spaces were treated the same as those of working fluids in heater and cooler respectively. While the temperature of working fluids in the expansion space was actually lower than that of working fluids in the heater, the temperature of working fluids in the compression space was higher than that of working fluids in the cooler. The aim of this study divided typical temperatures of working fluids in expansion and compression spaces into serval grades, and than evaluated the experimental engine. As the result, the case which working fluids temperature of expansion space was treated as lower than the heater temperature and which that of compression space was treated as higher than the cooler temperature, was much closer to the experimental value.

  • PDF

Effects of cooperative Blended learning in secondary science instruction (중학교 과학 수업의 온.오프라인 혼합 협동학습 효과)

  • Kim, Sung-Wan;Kwon, So-Yo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1.06a
    • /
    • pp.249-252
    • /
    • 2011
  • 이 연구는 중학교 과학 수업의 온 오프라인 혼합 협동학습에 대한 효과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온 오프라인 혼합 협동학습과 관련된 문헌 고찰을 통해 연구의 수행에 필요한 이론적 기반을 마련하였다. 중학교 1학년 과학 내용 중에서 연구 단원을 선정하여 온 오프라인 혼합 협동학습 모형을 제시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김포시에 위치한 'K'중학교 1학년 학생들 중에서 사전 학업성취도 검사와 학습태도 검사에 의해 동질집단으로 확인된 2개 학습 79명이다. 연구대상 중 1개 학습 40명을 실험대상으로 선정하여 온 오프라인 혼합 협동학습의 실험을 실시하고 통제집단에는 기존의 면대면 협동학습을 실시하였으며 실험이 끝난 후 두 집단의 학업성취도 및 학습태도 변화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은 SPSS Ver.12.0을 이용하였으며 학업성취도는 다변량 분산분석(MANOVA)을 하였고, 학습태도는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한 연구의 결과 첫째,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온 오프라인 혼합 협동학습은 면대면 협동학습과 학업성취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온 오프라인 혼합 협동학습 실험집단이 면대면 협동학습 통제집단보다 학업성취도의 하위 영역 중 기억 영역에 그 효과성이 두드러짐을 확인하였다. 둘째,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온 오프라인 혼합 협동학습은 면대면 협동학습과 학습태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온 오프라인 혼합 협동학습은 첫째, 학습자들로 하여금 자료 수집, 분석, 정리 단계에서 정보의 공유를 통해 적극적으로 학습을 유도하였다고 예측할 수 있다. 이는 온 오프라인 혼합 협동학습이 면대면 협동학습보다 학업성취도 향상에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안으로 제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중학교 과학수업에서 온 오프라인 혼합 협동학습은 학습자의 학습태도에 효과적이라고 확신할 수 없다. 따라서 학습자의 교과에 대한 학습태도의 향상을 위해서는 교수 학습방법을 다각화하고 교과와 학습목표에 맞는 적절한 학습방법의 지속적 활용이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