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지리학의 발전 성과와 미래를 위한 준비

Research Results and Preparation for the Future Economic Geography in Korea

  • 한주성 (충북대학교 지리교육과)
  • Han, Ju-Seong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i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1.08.16
  • 심사 : 2011.09.02
  • 발행 : 2011.09.30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한국경제지리학 55년(1956~2010)의 제도적인 측면의 발전과 경제지리학 전공 학회회원의 연구 성과를 발달사적 측면에서 고찰하여 앞으로의 연구 과제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경제지리학은 4시기로 구분할 수 있는데, 경제지리학 요람기(1956~1962), 정립기(1963~1970년대 후기), 도약기(1980~1990년대 전기), 전환기(1990년대 후기 이후)가 그것이다. 한국 대학의 많은 지리교육과와 지리학과는 정립기와 도약기에 설립되었고, 총 연구물 편수(1,621건)의 44.4%가 2000년대에 발표되었으며, 연구 분야 중 광 공업지리학이 22.7%를 차지하였다. 연구물 중 경험적 접근방법이 약 2/3를 차지하였고, 연구 틀에서는 지역구조론과 공간 시스템론이 각각 약 40%를 차지하였다. 미래의 한국 경제지리학 연구 분야의 발달을 위해서는 자연환경뿐만 아니라 경제 사회 문화 지식 등의 측면에서 철저한 지역조사를 바탕으로 새로운 접근방법의 개발로 사회과학 발달에 공헌하여야 할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es of institution, quantity and approach methods of research results in the history of Korean economic geography during the last fifty-five years (1956-2010) and to offer the prepara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The history Korean economic geography can be divided into four periods: 'period of cradle' (1956-1962), 'period of establishment' (1963-later 1970s)', 'period of leap (the former half of 1980s-the former half of 1990s)', and 'period of transition (since later 1990s)'. Many departments of geography education and geography have been founded in the 'period of establishment' and 'period of leap'. Among the total research matters (1,621), 44.4 percent of research results have been made in 2000s and the most researched field was that of manufacturing geography, which occupied 27.7 percent. In the approach methods, about two-thirds of the results are the empirical inductive approach and the research frameworks method which clarified the regional structures and theory of spatial system occupied each about 40 percent. In the future, each research field of Korean economic geography is expected to take more serious view of nature environment, thorough regional survey, and preference of economy-society-culture-knowledge in the research framework of spatial network theor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