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udy on Using Spreadsheet in Probability and Statistics Area of High School

고등학교 확률 통계 영역에서 스프레드시트 활용에 대한 연구

  • Received : 2011.07.11
  • Accepted : 2011.09.09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This study is based on the recognition that the school mathematics education should reinforce the heuristic and constructional aspects related with discoveries of mathematical rules and understanding of mathematical concepts from real world situations as well as the deductive and formal aspects emphasizing on mathematical contents precisely. The 11th grade students of one class from a city high school with average were chosen. They were given time to learn various functions of Excel in regular classes of "Information Society and Computer" subject. They don't have difficulty using cells, mathematical functions and statistical functions in spreadsheet. Experiment was performed for six weeks and there were two hours of classes in a week.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eaching materials using spreadsheets play an important role in helping students to experience probabilistic and statistical reasoning and construct mathematical thinking. This implies that teaching materials using spreadsheet provide students with an opportunity to interact with probabilistic and statistical situations by adopting engineering which can encourage students to observe and experience various aspects of real world in authentic situations.

학교 수학에서 발견적 형성적 측면을 강조할 수 있는 교수학적 도구로 스프레드 시트의 활용에 대한 실증적인 분석이 필요하다는 인식하에 본 연구는 확률 통계 영역에서 스프레드시트를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에 대해서 알아보고, 이에 따라 확률 통계 영역에서 스프레드시트를 활용한 교수 학습 자료를 실제로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문헌 연구를 통해 확률 통계 영역의 개념과 내용중에서 스프레드시트를 활용한 학습경로를 구성했으며, 교수 실험에서 드러난 문제점을 보완하여 8차시 분량의 스프레드시트를 활용한 교수 학습 자료를 개발하였다. 교수 실험에 참여한 학생들은 "정보사회와 컴퓨터"과목의 정규 단원에서 스프레드 시트의 다양한 기능을 익혔고, 스프레드시트의 셀 기능과 수학함수, 통계함수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었다. 교수 실험 과정에서 스프레드시트를 활용한 교수 학습 자료는 학생들이 확률 통계적 상황의 여러 측면을 직관적으로 탐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확률 통계적 추론을 경험하고 수학적 사고를 구성하는 데 긍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이 결과는 교실 수업에서 스프레드시트를 활용한 교수 학습 자료가 확률 통계적 상황과 상호 작용하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