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wo Cases of Improved Dizziness and Ataxia due to Pontine Stroke in Bojungikki-tang-gamibang

보중익기탕가미방(補中益氣湯加味方) 투여를 통한 뇌교병변 현훈과 보행실조 환자 치험 2례

  • Im, Eun-You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Oriental Hospital of Daegu Haany University) ;
  • Lee, Je-W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Oriental Hospital of Daegu Haany University) ;
  • Jang, Woo-Seo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Oriental Hospital of Daegu Haany University) ;
  • Cheon, Woo-Hyun (Department of Neurology, Daegu Haany University) ;
  • Chung, In-Kw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Daegu Haany University) ;
  • Baek, Kyung-Mi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Oriental Hospital of Daegu Haany University)
  • 임은영 (대구한의대학교 부속 대구한방병원 심계내과학교실) ;
  • 이제원 (대구한의대학교 부속 대구한방병원 심계내과학교실) ;
  • 장우석 (대구한의대학교 부속 대구한방병원 심계내과학교실) ;
  • 전우현 (대구한의대학교 신경과학교실) ;
  • 정인권 (대구한의대학교 내과학교실) ;
  • 백경민 (대구한의대학교 부속 대구한방병원 심계내과학교실)
  • Received : 2011.08.16
  • Accepted : 2011.10.05
  • Published : 2011.10.25

Abstract

Bojungikki-tang-gamibang is a widely used herbal prescription in traditional medicine in Korea.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Bojungikki-tang-gamibang for patients who have pontine stroke. They have problems with type of Qi deficiency(氣虛) in the rehabilitation stage. The type of Qi deficiency caused the dizziness and ataxia for the patients. In this study there are two types of patients. The first case is a patient with dizziness and ataxia because of potine hemorrhage. The second case is a patient who has the same symptoms as the first one but caused by pontine infraction. We treated the two patients with Bojungikki-tang-gamibang. The Improvement of symptom was evaluated by Korean vestibular disorders activities of daily living scale(K-VADL). As a result the degree of dizziness decreased noticeably while other symptoms improved as well. This study suggests that Bojungikki-tang-gamibang may be an effective treatment for patients who suffer stroke with type of Qi deficiency(氣虛) in the rehabilitations stage. However, more cases and methods of diagnosis are required to prove that the oriental medicine, Bojungikki-tang-gamibang can apply to patients universally.

Keywords

References

  1. K.W. Lindsay, I. Bone. 임상신경학. 서울, E Public. p 233, 2006.
  2. 서울의대신경과학교실. 신경과학, 서울, E public. pp 91-96, 216-220, 2007.
  3. Neuhauser, H.K. Epidemiology of vertigo. Curr Opin Neurol. 6(1):93-99, 2007.
  4. 박숙자, 박규택, 김영균, 권정남. 뇌간경색환자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1(5):729-738, 2000.
  5. 김방울, 김용진, 김행진, 유형천, 전상윤, 홍 석. 회전성 현훈과 운동실조를 주소로 한 소뇌경색 환자 치험 1례.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4(3):662-666, 2003.
  6. 부송아, 이유경, 공경환, 용형순, 고성규. 소뇌기능이상의 임상양상을 특징으로 보인 뇌교출혈 환자 1례.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1(5):889-895, 2000.
  7. 정병무, 현민경, 신원용, 김미랑, 신현철, 정지천, 윤철호. 현훈과 돌발성 난청을 주소로 하는 뇌교경색.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5(4):200-206, 2004.
  8. 김재우, 현진오, 백진원, 최은영, 정현정, 정승현, 신길조, 이원철. 뇌교경색에 동반된 편마비와 근육의 이상경련양 불수의 운동에 관한 치험 1례. 대한한의정보학회지 10(2):17-25, 2004.
  9. 임은경, 이윤재, 이정섭, 문미현, 조영기, 이성균, 정현애, 윤종민, 신선호. 뇌교경색으로 인한 현훈 및 복시증상에 助肝益腦湯을 투여한 치험 1례.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6(4):881-888, 2005.
  10. 구범모, 양재철, 김성근, 이경윤, 김주영. 뇌교경색을 동반한 파킨슨병 환자의 小柴胡湯치험예. 대한한의학회지 28(2):34-43, 2007.
  11. 김지윤, 신우진, 홍현우, 김재연, 이성도, 박동일, 감철우. 현훈과 보행실조를 주소로 한 뇌교출혈 환자 치험 1례. 2004 대한한방내과학회 춘계학술대회. pp 115-122, 2004.
  12. 허 준. 동의보감. 경남. 동의보감출판사, pp 1220-1221, 2005.
  13. 한규철, 이은정, 이주형, 박시내, 이흥엽, 전은주 등. 한국어 번역판 어지럼 척도 표준화 연구. 대한평형의학회지 3(2): 307-325, 2004.
  14. 통계청. 2009사망원인 통계결과.
  15. 김영석 편저. 임상중풍학. 개정판. 서울, 정담, pp 84, 145-159, 330-331, 1997.
  16. 이 형, 김재일. 뇌졸중에 의한 어지럼. 대한의사협회지 51(11):1016-1024, 2008.
  17. 최유경, 홍의실, 백은기, 고승희, 이청정혜, 박세기 등. 뇌졸중 환자에 대한 연례보고. 대한중풍학회지 2(1):1-8, 2001.
  18. 이현정. 최수미. 어지럼 환자의 삶의 질 관련요인. 대한간호학회지 39(5):751-758, 2009.
  19. 李東垣東垣十種醫書. 서울, 대성문화사, pp 2-3, 21, 635-636, 1989.
  20. 安昶中編. 古今實驗方全. 서울, 행림서원, p 5, 1964.
  21. 최인선, 민성순, 김종환, 서상호, 박상은, 김영균 등. 補中益氣湯및 그 加味方을 투여한 중풍환자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5(3):388-397, 2004.
  22. 박 경, 김희준, 손지영, 곽민아, 김승모, 김대준 등. 보중익기탕가미방 투여로 호전된 혈관성 치매 환자 1례 보고.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2(4):943-947, 2008.
  23. 이정섭, 신선호. 특발성 동안신경마비로 인한 안검하수와 안구운동장애 환자의 치험 1례.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2(3): 699-702, 2008.
  24. 김정은, 박상은, 신철경, 권오순, 이재왕, 서창운 등. 뇌졸중 환자의 정구성 정색소성 빈혈에 대한 보중익기탕 호전례 2례. 동서의학. 34(1):33-43, 2009.
  25. 황귀성, 김형우, 최찬헌, 정현우. 보중익기탕가미방이 신경교세포의 세포사멸보호 및 항산화에 미치는 영향.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4(3):401-409, 2010.
  26. 유승열, 임영환, 국윤범. 동의보감 중 보중익기탕의 임상응용 연구. 문헌고찰 및 활용성을 중심으로.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17(1):45-59, 2009.
  27. 서민준, 이규봉, 박진한, 홍승헌. 보중익기탕의최근연구동향. 한의학연구원논문집, 16(2):83-90, 2010.
  28. 황귀성. 가미보중익기탕 추출물이 흰주의 국소 뇌혈류량과 평균 혈압에 미치는 영향. 동신대학교 대학원. 2008.
  29. 황귀성. 보중익기탕 가미방이 허혈병태모델에서 뇌기능 개선에 미치는 효과 및 기전연구. 동신대학교 대학원. 2010.
  30. Cohen, H.S., Kimball, K.T., Adams, A.S. Application of the vestibular disorders activities of daily living scale. Laryngoscope. 110: 1204-1209, 2000. https://doi.org/10.1097/00005537-200007000-00026
  31. Garcia-Tapia, R. Factor analysis and correlation between Dizziness Handicap Inventory and Dizziness Characteristics and Impact on Quality of Life scales. Acta Otolaryngol suppl. 545: 145-154, 2001.
  32. 한림대학교산학협력단. 노령기 어지럼증에서 정신적, 기능적 장애 정도의 분석과 전정생활운동의 개발 및 효과에 대한 연구. 건강증진사업지원단. pp 1-31, 2009.
  33. 이도준, 이정구, 서명환. 전정기능저하의 전정재활치료. 대한평형의학회지 10(1):32-37,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