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to's rule of philosopher-king

플라톤의 철인왕 통치

  • Received : 2011.01.07
  • Accepted : 2011.02.15
  • Published : 2011.03.31

Abstract

Plato's political thought is developed in , and . He hopes 'justifiable state' that all citizens can get happiness. He suggests the plan of the ideal state. And the most important element in this ideal state is philosopher-king. His metaphysics, psychology and education theory are melted in philosopher-king. But in actual, the appearance of chis ideal ruler is impossible. Therefore he finds the second best state in . Then does Plato gives up his dream of the ideal state or approaches to that closely? And ruler stands against laws or relates with partnership? This article deals with these problems. As last, we will compare Plato's ideal state and philosopher-king to God's kingdom and Jesus in the Bible.

플라톤의 정치사상은 <국가>, <정치가>, <법률>이라는 세 대화편에서 전개된다. 당시의 혼란스런 정치적 상황에서, 그는 모든 시민이 행복할 수 있는 '정의로운 나라'를 염원하면서 <국가>에서 이상국가의 설계도를 제시한다. 그런데 이상적인 나라의 핵심요소는 철인왕이다. 플라톤은 철학적 이성과 통치 권력이 결합되지 않는 한, '아름다운 나라'가 건설될 수 없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국가>에서 보여준 그의 형이상학, 영혼론, 교육론 등은 모두 이 철인왕 통치를 위해서 동원된 수단들이다. 다시 말해 철인왕 안에서 그의 모든 철학적 이론들이 용해되어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이러한 이상적 통치자의 등장이 불가능에 가까우므로, <정치가>의 과도기를 거쳐 <법률>에서 법률로 다스려지는 차선의 국가를 모색하게 된다. 그렇다면 플라톤은 이상국가의 꿈을 완전히 저버렸는가, 아니면 완전한 실현은 아닐지라도 법을 통해 이에 근접하고자 했는가? 또한 통치자와 법은 상호대립의 관계에 있는가, 아니면 상호 보완의 관계에 있는가? 이러한 문제들을 본 논문에서 고찰하고자 하며, 마지막으로 플라톤의 이상국가와 철인왕을 성경의 저자들이 증거 하는 하나님나라 및 예수와 비교하고자 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경북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