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ntrinsic motivation of child welfare workers: Modeling its causal relationships with career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s

아동복지기관 종사자의 내재적 동기가 경력몰입을 통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강현아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부)
  • Received : 2011.11.01
  • Accepted : 2011.12.16
  • Published : 2011.12.30

Abstract

Based on the framework of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past relevant literature, the study develops and estimates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motivation, career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The study utilizes data from a cross-sectional survey conducted on 353 child welfare workers of the fields of foster care, child protective services, and child residential care all over the country. The study relies 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method. The result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dicate the validity of measurement model. The results of SEM tests show a good fit of the proposed model. Controlling the level of salary and the working hours of the workers, the model reveals that intrinsic motivation is positively related to career commitment, and that career commitment is negatively related to turnover intention. In other words, the effect of intrinsic motivation on turnover intention is mediated by career commitment.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for practice and study limitations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아동복지 종사자가 자신의 일에 대한 순수한 즐거움을 동기로 그 일을 하는지, 즉 그들의 내재적 동기가 자신의 전문분야에 대한 애착을 의미하는 경력몰입을 통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아동보호전문기관, 가정위탁지원센터, 아동양육시설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분석방법을 통해 353명의 아동복지 종사자의 내재적 동기, 경력만족 및 이직의도 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하였다. 먼저, 잠재변인이 적절한 측정변인으로 구성되었는지 측정분석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구조분석을 통해 구조모형의 변인 간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연구가설에서 설정한 대로 내재적 동기는 경력몰입을 통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내재적 동기가 이직의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통제변수들 중에서는 종사자의 월수입과 근무시간이 경력몰입과 이직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이 결과를 반영하여 모형 적합도를 높인 수정모형을 제시하였으며,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 실천적 함의를 제안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2010년 숙명여자대학교 교내연구비 지원으로 이루어졌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