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relations of grandparent-grandchildren family adolescent and resilience -centering around the parameters of self esteem, empathy and internal·external locus control -

조손가족 청소년의 가족관계와 적응유연성의 관계 -자아존중감, 공감, 내·외통제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Song, Yoo-Mee (Daegu Cyber University) ;
  • Lee, Sun-Ja (Corea Welfare Cyber College, Department of Adolescent Welfare and Counseling)
  • 송유미 (대구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이선자 (한국복지사이버대학 청소년보호학과)
  • Received : 2011.04.30
  • Accepted : 2011.08.04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Adolescence is the important period of experiencing primary social relations through family relations. Adolescent of grandparent-grandchildren family who are provided social welfare service, however, causes many psychological and social problems on account of the negative family relationship, so it is needed resilience in order to recover from those circumstances through easing their negative family relations. This study set self esteem, empathy and internal·external locus control as parameters in order to know how negative family relations of grandparent-grandchildren family could influence the resilience of adolescent, then tried to reveal the entire and synthetic causal relationship in paths of them. For this, we analyzed 492 cases of grandparent-grandchildren family adolescent, which had negative family relations. In this process, we used Amos 19.0, analyzed interrelation and path, and examined significance of type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in direct-indirect effect between paths. As the analysis result, we proposed that the development of social welfare program and use of it centered on self-esteem, empathy and internal-external control to the family relations of grandparent-grandchildren family adolescents was a practical approaching task of social welfare for them.

청소년기는 가족관계를 통해 1차적 사회관계를 경험하는 시기이기 때문에 청소년의 가족관계는 매우 중요하다. 특히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조손가족 청소년은 일반 청소년에 비해 부정적인 가족관계로 인한 심리·사회적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가 많아 그들의 가족관계를 완화하여 다시 회복할 수 있는 적응유연성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조손가족 청소년의 가족관계가 적응유연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자아존중감, 공감, 내·외통제감을 매개변수로 설정하였고, 그들 간의 경로를 파악하여 전체적인 측면에서의 통합적인 인과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단위의 조손가족 청소년 492명을 대상으로 Amos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관계 및 경로분석을 실시하였고, 모형의 유의성 및 경로 간의 직·간접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조손가족 청소년의 가족관계는 적응유연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고, 자아존중감, 공감이라는 매개기능을 통해서 간접적인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조손가족 청소년의 가족관계에 있어 자아존중감, 공감, 내·외통제감에 초점을 맞춘 사회복지프로그램 개발과 활용이 사회복지실천적 접근과제임을 제안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