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periences of discrimination and psychological distres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차별경험과 심리적 적응 :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 김혜미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원서진 (대구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최선화 (대전 유성구종합복지관)
  • Received : 2010.10.25
  • Accepted : 2010.12.31
  • Published : 2011.03.30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rimination experienced by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ir psychological distress. As new minorities growing up with bicultural identities in Korean society,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re often exposed to racial discrimination and such experience often acts as a stressor in their everyday life.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discrimination on their psychological distress as well as the role of social support, a survey was conducted in 25 elementary schools in Daejeon city and Chungnam and Chungbuk province. Results indicated that children's experiences of discrimination significantly affected their psychological distress level that the more they were exposed to discrimination, the higher levels of depression and anxiety they experienced. Among social support domains, only peer support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related to both the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and their depression and anxiety levels. Supporting the social support deterioration model, the findings showed that more experiences of discrimination led to reduced peer support which in turn, increased the likelihood of being depressed and anxious. Peer support was also significant in partially mediating the discrimination-psychological distress relationship.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 with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re provided.

최근 국제결혼이 증가하면서 국내 다문화가정의 아동 수 역시 급증하는 추세이다. 하지만 이 아동들은 소수인종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여러 사회적 차별에 노출되어 있으며, 이러한 차별경험은 이들에게 일종의 스트레스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차별경험이 아동의 심리적 디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에 대해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대전광역시, 충청남도, 충청북도 지역의 25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다문화가정 아동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차별경험은 다문화가정 아동의 우울 및 불안감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즉, 차별을 많이 경험한 아동은 그렇지 않은 아동에 비해 우울 및 불안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지지, 또래지지, 교사지지를 통해 알아본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분석 결과, 또래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가정 아동의 차별경험은 이들의 또래지지를 약화시키며 약화된 지지체계는 이들의 우울 및 불안수준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사회적 지지 약화모델의 유의함을 검증하는 결과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문화가정 아동에 대한 사회복지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