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ase Study of the Meaning of School Dropout of Teenager Unmarried Mothers

10대 미혼모가 경험한 학업 중단과 의미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11.04.26
  • Accepted : 2011.06.14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meaning of school dropout which teenager unmarried mothers have been experiencing. Thus, the researchers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of 6 unmarried mothers to portray vividly their voices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 qualitative case study. Acording to the results, the meaning of school dropout of teenager unmarried mothers was redefined as the matter of "identity and status deprivation". Also, their school dropout expediences should be analyzed in the more extended perspective beyond the negative meaning of the existing studies. This meant " the one sided exclusion from academic community." This could be drawn with the implications that the exclusion acted as the inner mechanism of another social exclusion and their school dropout served as the bondages of their lifetime. That is, the problem of school dropout has the meaning of 'the present tense' and 'the future tense' simultaneously. Within this context, the phenomenon in which they experienced was acting as the foundation of a continuous exclusion and discrimination. Also, it was found that our society applied its standards to them unilaterally and they came to live as otherness through their pregnancy.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has an important significance in that it overcame the limitations of previous research and investigated their subjective worlds.

본 연구는 10대 미혼모가 경험한 학업중단의 의미를 밝히기 위한 연구이다. 질적연구의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그들이 경험한 학업중단의 의미가 일차적으로 그들의 "신분과 지위 박탈" 의 문제로 재정의 되었는데, 이는 곧 제도화된 "학력사회로부터의 일방적인 배제" 라는 것을 의미한다. 또 이러한 배제는 또 다른 사회적 배제의 내적 기제로 작동하고 있다는 점, 또한 그들의 여생에서도 그럴 가능성-학업 중단이 평생의 굴레로 작용할 수 있는-이 농후하다는 시사점도 함께 도출할 수 있었다. 이와 함께 10대 미혼모의 학업중단의 문제가 사회적 정상성의 기준에서 벗어난 임신이라는 행동과 맞물려 "사회가 일방적인 기준을 적용했다" 라는 주요한 시사점의 도출을 통해 그들의 임신은 철저히 '타자화' 되는 삶으로 진입할 수밖에 없는 결정적 계기가 되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10대 미혼모들이 경험한 주관적 의미의 세계를 조명했다는 면에서 의의를 가진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