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hanging Process of the Tidal Landforms in Hampyeung Bay, Southwest Korea

함평만의 간석지 해안지형의 변화

  • KIM, Nam-Shin (Geography Education Departmen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LEE, Min-Boo (Geography Education Department,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김남신 (전남대학교, 지리교육과) ;
  • 이민부 (한국교원대학교 지리교육과)
  • Received : 2011.12.01
  • Published : 2011.12.30

Abstract

The aims of this study is about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idal coastal landforms, and that changing process in the Hampyeung Bay, which has a semi-enclosed bay like basin shape without inflow of stream, the mouth of open sea is narrow and forms with wide ends toward inland sea. The source of deposits are moved materials by tidal currents and from coastal slopes. Main landform elements of study area consist of tidal flat, tidal channels, intertidal sand bar, sea cliffs, and sea terrace. Tidal flats is classified with mud flat and mixed flat by grain size composition. Mud flats have developed at the shoreline area that tidal flat is closed to the continuity of gentle slope, and mixed flat developed at the foot of the sea cliffs and sea terraces. Quaternary deposits were identified in the coastal materials sedimented by the sea-level change.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grain size composition during last ten years, sands and silt has increased 2% and 6% respectively, clay has been decreased by 9%. The concaved tidal flats are colonized by salt plants. Areal changes of salt plants expanded near four times from 2.4km2 at the year 2001 to 9.3km2 at the year 2009. During the same periods, mean grain size became coarser from 6.5φ to 4.5φ at the salt plants area.

본 연구는 함평만의 간석지 해안지형의 분포특징과 그 변화과정이다. 함평만은 하천의 유입이 없는 분지형태와 같은 반폐쇄형 만으로, 외해 만 입구는 좁고, 내해로 가면서 넓어지는 형태이다. 이곳의 퇴적물 공급원은 조류와 연안사면에서 이동된 물질이다. 연구지역의 주요 지형요소는 간석지, 갯골, 조간대사주, 해식애, 해안단구 등이다. 간석지형은 입도조성에 따라 뻘 간석지, 사질혼성 간석지로 분류되었다. 뻘 간석지는 갯벌이 간석지와 연속성을 보이며 완만히 이어지는 해안지역에, 그리고 사질혼성 간석지는 해식애와 해안단구 기저 지역에 발달하였다. 일부 해안 지형에서는 신생대 4기 해수면 변동으로 퇴적된 지층이 확인되었다. 10년간 간석지 입도조성 변화 분석에서 모래는 2%, 실트는 6% 증가하였고, 점토는 9% 감소하였다. 오목형 간석지에는 염생식물이 정착해 있다. 염생식물의 분포 면적 변화는 2001년에 2.4km2에서 2009년에는 9.3km2로 약 4배 확대되었다. 같은 시기 염생식물 분포 지역에서 평균입도는 6.5φ에서 4.5φ로 조립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