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haracteristics of Seoul Ginoguigut in Ritual Form

서울 진오기굿의 의례적 특징

  • Yi, Yongbhum (The Korea Institute for Religion and Culture)
  • Published : 2011.02.28

Abstract

This paper intends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Seoul Ginoguigut in ritual form. This paper points out three characteristics; materialization of the journey to the world of the dead, direct communications with the dead, inclusive blessings for the dead and the living. Firstly, the journey to the world of the dead is materialized through various ritual processes of Seoul Ginoguigut. This characteristic is prominent in the context of comparisons with the death rituals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and of shamanism in other regions of Korea. Secondly, in Seoul Ginoguigut the communications of the dead and the living are made through direct dialogues between them through shaman's possession. The communications by direct dialogues between the dead and the living make it easy to accept death as a real fact, and have an effect of recognizing the individuality and uniqueness of each death. Thirdly, the blessings of Seoul Ginoguigut are so inclusive that they cover the dead's safe journey toward the world of the dead as well as the happiness of the living. This characteristic is related to the understanding of death of Korean shamanism that does not separate death and living. These three characteristics are perceived in the context of comparisons with the death rituals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and of Seoul Ginoguigut. And they give a clue to understand how the death rituals of Korean shamanism have persisted in Korean society.

이 글은 서울 진오기굿의 의례형식을 중심으로 의례적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 글은 서울 진오기굿의 의례상 특징으로 저승길의 가시적 구현, 망자와의 직접적인 의사소통, 죽은 자와 산 자를 아우르는 포괄적인 축원 등 세가지를 지적하였다. 먼저 서울 진오기굿은 굿의 의례과정을 통해 죽은 자의 저승길을 가시적으로 구현한다. 이는 유교, 불교의 죽음의례 뿐만 아니라 타 지역 무속 죽음의례와 비교했을 때도 상대적으로 두드러지는 서울 진오기 굿의 특징 가운데 하나이다. 두 번째로 서울 진오기굿에서는 무당의 신내림을 매개로 죽은 자와의 의사소통이 직접적인 대화형식으로 이뤄진다. 죽은 망자와의 직접적인 의사소통은 죽음을 현실로 받아들이고, 개개 죽음의 개별성과 특수성을 확인하는 의미를 갖는다. 세 번째로 서울 진오기굿에서 이뤄지는 축원은 죽은 자의 저승천도에 머물지 않고 살아있는 가족들의 평안까지 포괄한다. 이는 죽음이 죽은 자와 산 자에 다 관련되며, 죽음과 삶은 구분되나 분리되지 않는다는 무속의 죽음이해를 보여준다. 이 글에서 밝힌 서울 진오기굿의 의례적 특징은 유교, 불교 죽음의례와의 상대적 비교를 염두에 둔 것으로, 그것은 유교, 불교 죽음의례와의 상호관계에서 어떻게 무속 죽음의례가 한국사회에서 하나의 죽음의례로서 존재가치와 기능을 인정받아왔는가를 이해하는 단서를 제공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