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dding Culture: A Study on Gamer's Cultural Practices

모드하기의 문화적 실천에 대한 연구: <엘더스크롤 IV: 오블리비언>의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 Park, Keun-Seo (School of Journalism and Advertising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 박근서 (대구가톨릭대학교 언론광고학부)
  • Received : 2011.02.23
  • Accepted : 2011.07.26
  • Published : 2011.08.15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cultural practices of videogame audience with 'mod'. Videogame audience members are recognized as very active and interactive beings compared with other interpretive media audience members. Especially mod is one of the most dramatic cultural situation of videogame. It's very prominent properties are 'activity' and 'interactivity'. Videogame audience members, so called 'gamers' modify videogame software as their own sake and use it as their own intention. Modifying and playing with videogame, or 'modding' is very strong cultural program of gamer. Mod is one of avant-garde technology but its practice is not always radical. I observed practices of the members of Naver cafe 'Elderscroll' playing . They used mods of for their phallocentric desire. And they construct a hierarchical and top-dowon membership. So advanced technology and cultural media and text from it does not assure the same advanced contents.

비디오게임은 기존 미디어들과 구분되는 높은 수준의 능동성과 상호작용성을 제공한다. 비디오게임의 수용자는 단지 주어진 텍스트를 수동적으로 해석하는 존재가 아니라, 그것으로 어떤 행동을 하는 능동적 존재다. 게이머의 이러한 능동성과 상호작용성은 '모드하기'에서 가장 적극적으로 나타난다. 모드는 주어진 게임 텍스트를 게이머가 임의로 변경하여 자신의 뜻대로 사용하는 전위적이고 진보적인 미디어 수용 방법이다. 그러나 모드하기의 기술적 진보성이 그것의 문화정치적 의미의 진보성을 보장하지는 않는다. 이는 '엘더스크롤'의 <오블리비언> 게이머들의 경우에서 분명히 드러난다. 이들의 모드 사용은 선정적이며 남성중심적이었을 뿐 아니라, 이들 사이의 관계는 상징적 권위의 분포에 따라 불평형하게 정렬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모드는 진보적 기술임에는 틀림없지만, 그것의 문화정치적 의미 또한 진보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