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심의 실태에 관한 비판적 고찰: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산하 통신심의소위원회 회의록 분석을 중심으로

A Critical Approach Towards Communications Deliberation: Analysis of Korea Communications Standards Commission's Proceedings

  • 양선희 (충남대학교 언론정보학과) ;
  • 김재영 (충남대학교 언론정보학과)
  • 투고 : 2011.06.30
  • 심사 : 2011.08.03
  • 발행 : 2011.08.15

초록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산하 통신심의소위원회에서 이루어지는 통신심의는 그 동안 심의기구의 성격과 구성, 법체계, 운영방식 등을 둘러싸고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 통신심의에 관한 비판은 무성한 데 비해 막상 통신심의 실태에 대한 분석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시민사회단체에서 매우 제한적으로, 그것도 일부 사례를 중심으로 문제를 지적한 것이 거의 전부다. 이에 본 연구는 2010년 한 해 동안 이루어진 통신심의소위원회의 회의록을 분석해 수집한 데이터를 통해 그간 통신심의와 관련하여 제기된 비판이 얼마나 타당한지 그 실체를 살펴보았다. 특히 본 연구는 심의대상의 세 영역 가운데 '불법정보', 그 중에서도 '기타' 및 '국가보안법 위반'으로 분류된 항목에 초점을 맞추고 심의대상의 포괄성과 심의의 불충실성, 자의성 및 비전문성에 주목했다. 이를 통해 현행 통신심의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대안을 모색했다.

Communications deliberation conducted by Korea Communications Standards Commission(KCSC) has been caught up in controversy in terms of the legitimacy of KCSC and its operating system. But there is few or no analysis of the state of affairs concerning the subject. This article critically examines the proceedings of KCSC in 2010 and attempts to see how true and reasonable some points of issues towards communications deliberation raised mostly by civic groups are. The study pays particular attention to unfaithful and arbitrary deliberation and broadness of the items of deliberation. By doing so, the article tries to suggest some alternative ways for improving the system of communications deliberation in Korea.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