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Characteristics Asian Dust Observed in Japan Deflecting the Korean Peninsula (2010. 5. 22.-5. 25.)

한반도를 돌아 일본에서 관측된 황사의 특징 (2010년 5월 22일-5월 25일)

  • Ahn, Bo-Young (Asian Dust Research Laboratory,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
  • Chun, Young-Sin (Asian Dust Research Laboratory,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 안보영 (기상청 국립기상연구소 황사연구과) ;
  • 전영신 (기상청 국립기상연구소 황사연구과)
  • Received : 2011.06.13
  • Accepted : 2011.08.19
  • Published : 2011.08.31

Abstract

Asian dust was observed a total of 66 times in the springtime during the period from 2002 to 2010, with 26 cases in March, 23 cases in April and 17 cases in May. This study investigates a Asian dust episode that occurred during the period from 22 to 25 May 2010, based on synoptic weather patterns, wind vector at 850 hPa, relative humidity at 1000 hPa, Jet streams and wind vector at 300 hPa, PM10 concentration in Korea and satellite imagery. In this case, Asian dust originated on 22 May along the rear of a developing low pressure system in Mongolia. The Asian dust was then transported southeastward and bypassed the Korea peninsula from 23 to 24 May, before reaching Japan on 25 May. Jet streams on 24 May bypassed the Korean peninsula and induced the development of a surface low pressure centered over the peninsula. The resulting air flow was critical to the trajectory of the Asian dust, which likewise bypassed the Korean peninsula. 72-hour backward trajectory data reveal that the Shandong Peninsula and the East China Sea were the points of origin for the air flows that swept through the Japanese sites where Asian dust was observable to the naked eay. The Asian dust pathway is ascertained by horizontal distribution of the Asian dust of RGB imagery from MODIS satellites which captured the Asian dust moving over the Shandong Peninsula, the East China Sea, and northwest of the Kyushu region in Japan. Since the synoptic pattern and the transport way of the Asian dust case are far from typical ones, which Asian dust forecasting technique has long been based on, this study can be good example of exceptional Asian dust pattern and it will be used for more accurate Asian dust forecasting.

2002년부터 2010년까지 봄에 관측된 황사는 모두 66회였다. 월별로 보면, 3월에 26회, 4월에 23회, 5월에 17회로 5월의 황사는 3, 4월에 비해 드문 현상이다. 2010년 5월 22일부터 25일까지 동아시아에 나타난 황사는 발원하여 이동하면서 한반도를 비껴 일본으로 갔다. 이 황사는 22일 몽골 및 중국 북부지역에서 강한 저기압이 발달하면서 그 후면을 따라 남동진 하였고, 3일 뒤인 25일 일본에서 황사가 관측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사례기간의 종관기상 분석, 기류의 이동 방향, 위성을 이용한 황사의 수평 분포 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남중국해에서 발달한 저기압이 북상하면서 그 중심이 한반도 가장자리에 위치하였기 때문에 중국 내륙으로 내려온 황사는 저기압성 기류를 따라 한반도를 돌아 일본으로 이동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기류의 흐름은 850 hPa면의 바람벡터와 풍속장 분석 및 1000 hPa면의 상대습도 분포에서도 나타났다. 300 hPa 일기도상에서 제트기류는 몽골 서쪽 부근에서 남동진하여 몽골 내륙으로 사행하였다. 이후 이 기류의 영향으로 지상에서 한반도에 저기압이 발달하였는데 이는 황사가 한반도를 돌아 일본으로 이동한 결정적인 흐름이었다. 72시간의 후방공기궤적 분석결과, 일본에서 맨눈으로 관측된 곳의 기류는 모두 중국 산동반도와 동중국해에서 유입된 것으로 나타났다. 황사의 수평분포 결과, MODIS 위성의 RGB 영상에서 5월 24일에는 중국 산둥반도와 동중국해, 일본 규슈지역 남서쪽에서 황사가 탐지되었고, 5월 25일에는 동중국해와 일본 남해지역으로 황사가 이동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금까지의 황사 연구는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치는 황사의 발원지나 황사의 이동 경로 또는 에어러솔의 특성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지만, 이후 본 연구에서 분석된 사례와 같은 황사가 발생했을 경우 황사예보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기상청, 2007, 위성자료를 이용한 황사분석편람 2007-12호. 기상청 지구환경위성과, 서울, 121 p.
  2. 김학성, 정용승, 2009, 2005년 동아시아 지역에서 발생한 모래폭풍과 먼지침전(황사)의 관측. 한국지구과학회, 30, 196-209. https://doi.org/10.5467/JKESS.2009.30.2.196
  3. 손혜영, 김철희, 2009, 황사 발원지 기후자료의 시계열 특성과 부산지역 먼지 농도의 연관성 분석. 한국지구과학회, 30. 734-743. https://doi.org/10.5467/JKESS.2009.30.6.734
  4. 이동규, 김영아, 1997, 1980-1989년 북동아시아의 봄철 일기 유형 및 황사 현상과의 관계. 한국기상학회지, 33, 17-40.
  5. 윤순창, 박경선, 1991, 등엔트로피 궤적에 의한 황사의 장거리 이동 경로 분석. 한국대기보전학회지, 7, 89-95.
  6. 전영신, 김지영, 부경온, 김남욱, 2000, 겨울철 황사의 특징. 한국대기환경학회지, 16, 487-497.
  7. 전영신, 조경숙, 김영화, 이종국, 2003, 만주에서 발원한 황사 현상. 한국기상학회지, 39, 251-263.
  8. 전종갑, 예상욱, 권민호, 정용승, 1999, 황사의 장거리 수송과 관련된 대기 순환 유형의 분류. 한국기상학회지, 35, 575-586.
  9. 정관영, 박순웅, 1995, 한반도에 황사 출현시의 종관 기상 특징. 한국기상학회지, 31, 45-63.
  10. 정병옥, 류찬수, 김종석, 반기성, 2006, 제트기류와 황사 발생과의 관계. 2006년 한국기상학회 봄철 학술대회 논문집, 330-331.
  11. 홍성길, 1995, 기상분석과 일기예보. 교학연구사, 서울, 530 p.
  12. Chung, Y.S., 1986, Air pollution detection by satellite. The transpot and deposition of air pollutants over oceans. Atmospheric Environment, 20, 617-630. https://doi.org/10.1016/0004-6981(86)90177-0
  13. Chun, Y., Boo, K.-O., Kim, J., Park, S.-U., and Lee., M., 2001, Synopsis, transport,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sian dust in Korea.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06, 18461-18469. https://doi.org/10.1029/2001JD900184
  14. Iwasaka, Y., 1987, Chemical-Physical processes of "KOSA" particle surface during long-range transport. Tenki, 34, 179-182.
  15. Kenji, K., Xiao-Ning, X., and Atsushi, K., 1998, Geographical Distribution and long-range Transport of Dustsrorms in the East Asia. Journal of Arid land Studies, 8, 173-176. (in Japanese)
  16. Tanaka, M., Shiobara, M., Nakajima, T., Yamano, M., and Arao., K., 1989, Aerosol optical characteristics in the yellow sand events observed in May, 1982 at Nagasaki: Part I. Observation. Journal of Meteorological Society of Japan, 67, 269-270.
  17. Yoshion, M., 2002, Kosa (Asian Dust) Related to Asian Monsoon System. Korean Journal of Atmosphereic Sciences, 5, 93-100.
  18. Yoshino, M., Yamamoto T., and Suzuki, J., 2007, The Relationship between Occurrence of Dust Events and Synoptic Climatological Condition in East Asia, 1999-2003. Journal of Meteorological Society of Japan, 85, 81-99. https://doi.org/10.2151/jmsj.85.81

Cited by

  1. Analysis of Sensitivity to Prediction of Particulate Matters and Related Meteorological Fields Using the WRF-Chem Model during Asian Dust Episode Days vol.35, pp.1, 2014, https://doi.org/10.5467/JKESS.2014.3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