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ress and Self Care Guideline Adherence in Students with Influenza A (H1N1)

신종인플루엔자 감염학생의 스트레스와 자가치료지침 수행

  • 박진희 (전북대학교병원 감염관리실) ;
  • 강정희 (전북대학교 간호대학) ;
  • 김인자 (전북 전주 신동초등학교)
  • Received : 2011.04.27
  • Accepted : 2011.06.08
  • Published : 2011.08.31

Abstract

Purpose: This study examined levels of stress and adherence to self care guideline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who were infected with the influenza A (H1N1) virus in 2009. Method: A total of 649 students from J city participated in the survey. Stress was measured with the Impact of Event Scale-Revised which was developed by Weiss and Marmar (1997) and translated by Eun and colleagues (2005). Adherence to self care guidelines was measured with the scale developed by the authors based on the self care recommendations from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Result: Levels of stress and adherence to self care guidelines were higher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However, the severity of participants' stress was less than moderate. The adherence level was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status of taking an antiviral agent, health education and self care education regarding the virus infection. Conclusion: Findings suggest that effects of health education under the national crisis situation due to influenza A (H1N1) virus pandemic were helpful. More in-depth study is needed to understand and to improve middle school students' self care behaviors.

Keywords

References

  1. 기세윤 (2005). 한국인의 인플루엔자 백신 접종률 및 예방 접종에 대한 인식도 조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2. 김경란 (2009). 일부 초등학생의 손씻기 교육의 효과.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3. 김숙 (2001). 양호교사에 의한 정기적인 보건교육이 아동의 건강지식과 건강행위에 미치는 효과. 한국보건교육학회지, 14(2), 41-54.
  4. 김우주 (2009). 대유행 신종인플루엔자 A(H1N1)의 역학, 임상소견 및 치료. 대한내과학회지, 77(2), 157-164.
  5. 박신영 (2009). 아동의 신종인플루엔자 예방행동에 미치는 영향 요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6. 보건복지가족부, 질병관리본부 (2009, 10, 26). 신종인플루엔자 A(H1N1) 예방 및 환자관리 지침(개정 6판). 서울: 보건복지가족부, 질병관리본부. http://flu.cdc.go.kr/
  7. 보건복지가족부, 질병관리본부 (2010, 3, 5). 보도자료: 신종인플루엔자 위기단계 "주의"로 하향 조정. http://flu.cdc.go.kr/
  8. 안성용 (2010). 신종플루 학생 '학교에선 왕따, 학원선 쫓겨나'. Retrieved October 13, 2010, from CBS 노컷뉴스: http://www.cbs.co.kr/nocut/
  9. 오대규 (2001). 델파이기법을 이용한 신종 및 재출현 전염성 질환 관리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서울.
  10. 윤순녕, 김영임, 최정명, 조희순, 김영희, 박영남, 오경순, 이분옥, 조선녀, 조소영, 한선희, 하영미 (2005). 초.중.고등학교 학생.학부모.일반교사의 보건교육 영역별 요구도와 보건교육. 한국학교보건학회지, 18(1), 1-14.
  11. 은헌정, 권태완, 이선미, 김태형, 최말례, 조수진 (2005). 한국판 사건충격척도 수정판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신경정신의학, 44(3), 303-310.
  12. 이은영, 최보율, 손애리, 안동현 (2009). 학교 특성에 따른 건강증진학교 평가.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6(3), 85-96.
  13. 장윤정 (2007). 일부 중학생의 손씻기 지식, 태도 및 실천에 관한 연구. 건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대전.
  14. 전라북도 (2009, 12, 31). 신종플루 일일상황보고. 전북: 전라북도 신종인플루엔자 대책본부.
  15. 정경희 (2009). 일부 중학생의 유행성 눈병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16. 정재심, 최준길, 정인숙, 백경란, 인혜경, 박기동 (2007). 전 국민의 손씻기 이행 및 인식 실태. 예방의학회지, 40(3), 197-204.
  17. 조정민 (2009). 보건교과교육이 중학생의 건강지식, 태도, 행위에 미치는 효과. 한국학교보건학회지, 22(2), 49-59.
  18.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 감염병센터 인플루엔자바이러스과 (2010). 국내 유행 인플루엔자 항바이러스제 내성 분석, 2008.8-2009.12. 주간건강과 질병, 3(4), 53-56.
  19. 질병관리본부 전염병대응센터 공중보건위기대응과 (2010). 정부의 신종인플루엔자 A(H1N1) 대응. 주간건강과 질병, 3(15), 241-246.
  20. 질병관리본부 전염병대응센터 역학조사과, 감염병센터 간염폴 리오바이러스과 (2009). 서울시 도봉구 ㅇㅇ고등학교 A형 간염 유행 역학조사. 주간건강과 질병, 2(24), 379-380.
  21. 질병관리본부 전염병대응센터 역학조사과, 전라북도 익산시보건소 (2010). 학교 내 노로바이러스의 유행. 주간건강과질병, 3(5), 75-76.
  22.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8). Desk reference to the diagnostic criteria from DSM-IV-TR (간편 정신장애진단 통계 편람). (강진령 번역). 서울: 학지사. (원저 2000년 출판).
  23. Cauchemez, S., Donnelly, C. A., Reed, C., Ghani, A. C., Fraser, C., Kent, C. K., Finelli, L., & Ferguson, N. M. (2009). Household transmission of 2009 pandemic influenza A (H1N1) virus in the United States.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61(27), 2619-2627. https://doi.org/10.1056/NEJMoa0905498
  24.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9). CDC Guidance for business and employers to plan and respond to the 2009-2010 influenza season. Retrieved from the CDC Web site: http://www.cdc.gov
  25. France, A. M., Jackson, M., Schrag, S., Lynch, M., Zimmerman, C., Biggerstaff, M., & Hadler, J. (2010). Household transmission of 2009 influenza A (H1N1) virus after a school-based outbreak in New York City, April- May 2009. The Journal of Infectious Diseases, 201(7), 984-992. https://doi.org/10.1086/651145
  26. Lee, A. M., Wong, J. G., McAlonan, G. M., Cheung, V., Cheung, C., Sham, P. C., Chu, C. M., Wong, P. C., Tsang, K. W., & Chua, S. E. (2007). Stress and psychological distress among SARS survivors 1 year after the outbreak. Canadian Journal of Psychiatry, 52(4), 233-240. https://doi.org/10.1177/070674370705200405
  27. Mak, L. W. C., Chu, C. M., Pan, P. C., Yiu, M. G. C., & Chan, V. L. (2009). Long-term psychiatric morbidities among SARS survivors. General Hospital Psychiatry, 31, 318-326. https://doi.org/10.1016/j.genhosppsych.2009.03.001
  28. Morgan, O. W., Parks, S., Shim, T., Blevins, P. A., Lucas, P. M., Sanchez, R., Walea, N., Loustalot, F., Duffy, M. R., Shim, M. J., Guerra, S., Guerra, F., Mills, G., Verani, J., Alsip, B., Lindstrom, S., Shu, B., Emery, S., Cohen, A. L., Menon, M., Fry, A. M., Dawood, F., Fonseca, V. P., & Olsen, S. J. (2010). Household transmission of pandemic (H1N1) 2009, San Antonio, Texas, USA, April-May 2009.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16(4), 631-637. https://doi.org/10.3201/eid1604.091658
  29. Weiss, D. S., & Marmar, C. R. (1997). The impact of event scale revised. In: J. P. Wilson & T. M. Keane (Editors). Assessing Psychological Trauma and PTSD (pp. 399-411). New York, NY: Guildford Press.
  30. WHO. (2009, July). Changes in reporting requirements for pandemic (H1N1) 2009 virus infection. Retrieved October 10, 2010, from the WHO web site: http://www.who.int/csr/disease/swineflu/notes/h1n1_surveillance_20090710/en/index.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