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김종임, 임난영, 김금순 (2003). 4년제 간호교육기관의 기본간호학 실습 기자재 표준안 개발. 기본간호학회지, 10(3), 415-426.
- 김혜숙 (2002).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임상수행능력과의 관계연구. 한국보건간호학회지, 16(2), 64-76.
- 남미라 (2005). 기본간호학 실습교육에서 웹기반 학습의 효과: 무균술 실습교육을 중심으로. 기본간호학회지, 12(3), 290-297.
- 박선남, 이선경 (2008). 간호대학생의 기본간호 수기 수행능력의 영향요인. 기본간호학회지, 15(1), 6-13.
- 변영순 (2005). 4년제 간호대학(과) 기본간호학 실습교육의 현황과 발전방향.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1(2), 169-176.
- 신은주 (2008). 일 대학 간호학생의 자기효능감, 실습만족도 및 기본간호수기술과의 관계. 기본간호학회지, 15(3), 380-386.
- 안은경 (2000). 간호사의 자기효능감과 업무성과 구조모형 구축. 충남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대전.
- 양진향 (2005). 간호학생의 기본간호 임상실습 경험. 질적 연구, 6(2), 51-64.
- 유문숙, 유일영, 박연옥, 손연정 (2002). 기본간호학 실습교육 방법에 따른 학생들의 간호수행능력의 비교. 대한간호학회지, 32(3), 327-335.
- 윤은자 (1999). 기본간호학 실습교육에서 비디오 녹화학습의 효과연구-근육주사 실습교육을 중심으로. 한국간호교육학회지, 5(1), 86-96.
- 이경희 (2001). 기본간호학의 문제중심학습 적용방안(2)- Reflective Journal을 통한 수업평가를 중심으로. 울산과학대학 연구논문집, 28(2), 183-196.
- 이숙희 (2008). 임상실습 오리엔테이션 프로그램이 간호학생의 첫 임상실습에 대한 불안, 자아존중감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기본간호학회지, 15(4), 539-547.
- 이영휘 (1994). 효능기대증진프로그램이 자기효능과 자가간호 행위에 미치는 영향-본태성 고혈압환자를 중심으로. 성인간호학회지, 7(2), 212-227.
- 정정임 (2003). 수간호사의 임상실습교육 체험.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 조미영 (2010). 간호학 실습교육에 대한 국내 연구현황 분석.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6(2), 239-248.
- 조복희, 고미혜, 김순영 (2004). 기본간호학 실습교육에서 웹기반 학습이 유치도뇨술 수행능력, 지식,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기본간호학회지, 11(3), 248-255.
- 주민선, 황윤영, 박창승 (2006).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문제중심학습 모듈개발 및 적용. 기본간호학회지, 13(2), 182-189.
- 한경순, 박은희, 조주연 (2000). 간호대학생들의 기본간호실습 태도에 대한 주관성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29(2), 293-303.
- 홍승희, 권영숙 (2010). 자율실습 지도방법에 따른 간호대학생의 기본간호학 실습성적, 자신감, 만족도. 계명간호과학, 14(1), 1-10.
- 황성자 (2006). 간호대학생들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자기효능감 및 자아존중감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2(2), 205-213.
- Bandura, A. A. (1993). Perceived self-efficacy in cognitive development and functioning. Educational Psychologist, 28(2), 117-148. https://doi.org/10.1207/s15326985ep2802_3
- Budgen, C., & Gamroth, L. (2008). An overview of practice education models. Nurse Education Today, 28, 273-283. https://doi.org/10.1016/j.nedt.2007.05.005
- Cope, P., Cuthbertson, P., & Stoddart, B. (2000). Situated learning in the practice placement. Journal of Advanced Nursing, 31(4), 850-856. https://doi.org/10.1046/j.1365-2648.2000.01343.x
- Denzin, N. K. (1989). The research act (3rd ed.). New York: McGraw-Hill.
- Lofmark, A., & Wikblad, K. (2001). Facilitating and obstruction factors for development of learning in clinical practice: A student perspectiv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34(1), 43-50. https://doi.org/10.1046/j.1365-2648.2001.3411739.x
- Mahat, G. (1998). Stress and coping: Junior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in clinical setting. Nursing Forum, 33(1), 11-19. https://doi.org/10.1111/j.1744-6198.1998.tb00976.x
- Patton, M. Q. (2001). Qualitative research & evaluation methods (3rd ed.). Newbury park, CA: Sage.
- Sharif, F., & Masoumi, S. (2005). A qualitative study of nursing students experiences of clinical practice. BMC Nursing, 4(6), 1-7. https://doi.org/10.1186/1472-6955-4-1
- Sherer, M., Maddux, J. E., Mercandante, B., Prentice-Dunn, S., Jacobs, B., & Rogers, R. W. (1982).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51, 663-671. https://doi.org/10.2466/pr0.1982.51.2.663
피인용 문헌
- Analysis of Positioning in the Nursing Students' Narrative of the Experiences of Clinical Practice vol.20, pp.1, 2014, https://doi.org/10.5977/jkasne.2014.20.1.129
- Methodological Triangulation Method to Evaluate Adjustment to College Life in Associate Nursing College Students vol.13, pp.7,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7.3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