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ctors Related to Health-promoting Behaviors and Chronic Diseases in the Elderly

노인들의 건강증진행위와 만성질환과의 관련요인

  • Kim, Mun-Hwan (Department of Protection & Martial Arts, Kimcheon Science College) ;
  • Lee, Dong-Ho (Department of Health Administration, Keimyung College University)
  • 김문환 (김천과학대학 경호무도과) ;
  • 이동호 (계명문화대학 보건행정학부)
  • Received : 2011.05.02
  • Accepted : 2011.06.23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promotion behaviors and chronic disease prevalence of Korean elderly and to provide information for preventing chronic diseases and improving health conditions of the elderly. Methods: A subset of 584 cases in the four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was used for secondary analysis. Chi square test was used to compare chronic diseases prevalence by general characteristics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the factors associated with chronic diseases. Results: Gender, occupation, subjective health status, smoking, and alcohol drinking have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chronic diseases. Conclusions: Gender-specific health education for the elderly should be implemented at the health center, and opportunities for social participation can be enhanced through job creation for the elderly. Active campaigns on smoking cessation and moderate drinking are needed to prevent and manage chronic diseases of the elderly.

Keywords

References

  1. 구미옥. 한국 노인의 건강증진행위에 대한 문헌분석 연구. 간호학의 지평 2006;13(1):17-34.
  2. 구영경. 노인의 구강위생형태와 주관적 구강건강[석사학위논문]. 부산: 인제대학교 대학원, 2010.
  3. 김노영. 노인 만성질환 영양 요인 조사연구[석사학위논문]. 전북: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9.
  4. 김도희. 노인 건강증진행위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적지지, 내적 건강통제위,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석사학위논문]. 서울: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0.
  5. 김신봉. 건강한 고령화 사회를 만들기 위한 식습관 개선에 관한 고찰[석사학위논문]. 서울: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6.
  6. 김현아. 노인의 건강지각, 건강지식 및 건강증진행위에 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서울: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7.
  7. 김혜경. 노인의 건강행위 및 관련요인: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강원: 한림대학교 대학원, 2002.
  8. 김혜숙.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박사학위논문]. 서울: 숭실대학교 대학원, 2009.
  9. 박경용. 주관적 건강수준 및 만성질환 이환여부와 건강관련행위와의 관련성[박사학위논문]. 충남: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0.
  10. 박노동. 노인의 건강상태와 건강행위[박사학위논문]. 충남: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4.
  11. 박은주. 건강증진 프로그램이 여성노인의 건강과 건강증진 생활양식에 미치는 효과[박사학위논문]. 충남: 백석대학교 대학원, 2009.
  12. 박은흥. 거주지역에 따른 노인성질환 조사연구[석사학위논문]. 대전: 대전대학교 대학원, 2003.
  13. 박현주. 교사의 만성질환 유병률 및 질환발생의 위험요인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서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1.
  14. 보건복지가족부. http://www.mw.go.kr, 2006.
  15.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국민건강영양조사: 제3기 검진조사. 과천: 보건복지부, 2006.
  16.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국민건강영양조사 제3기 조사결과 심층분석 연구: 건강면접 및 보건의식 부문. 과천: 보건복지부, 2007.
  17. 백우진. 노인들의 삶의 질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박사학위논문]. 경북: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09.
  18. 서미경. 한국 노인의 만성질환 상태 및 보건․의료대책. 한국노년학 1995;15(1): 28-39.
  19. 서현미. 노인의 건강증진행위 모형구축[박사학위논문]. 서울:서울대학교 대학원, 2001.
  20. 성정숙. 노인의 건강증진행위와 건강상태[석사학위논문]. 서울: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5.
  21. 손미아. 사회계급과 건강행위가 유병률에 미치는 영향. 예방의학회지 2002;35(1):57-64.
  22. 어광수. 사회경제적 요인 및 심리적 요인이 노인의 건강행위에 미치는 영향[박사학위논문]. 강원: 한림대학교 대학원, 2003.
  23. 오현숙. 노인의 인지.지각요인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박사학위논문]. 경북: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09.
  24. 원영순. 노인의 구강상태와 식습관 및 건강의 관계[석사학위논문]. 서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25. 유은매. 일부 도시지역 재가 노인의 건강상태와 건강증진행위에 관련된 요인[석사학위논문]. 충남: 충남대학교 보건대학원, 2004.
  26. 이동호. 한국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박사학위논문]. 경북: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09.
  27. 이석민. 개인 및 거주지역 특성이 만성질환유병상태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박사학위논문]. 서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28. 이소윤. 노인들의 라이프스타일과 건강지각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경북: 대구한의대학교대학원, 2010.
  29. 이숙경. 시설보호자의 건강상태 평가와 만성질환이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석사학위논문]. 경기: 포천중문의과대학교 대학원, 2003.
  30. 전제균. 노인복지측면에서 본 노인의 건강증진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고찰[석사학위논문]. 대전: 대전대학교, 2001.
  31. 정금숙. 독거노인의 사회적지지와 건강증진행위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경기: 경원대학교 대학원, 2010.
  32. 조아진. 노인의 사회적 지지 및 건강증진행위가 인지된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33. 진정권. 고령자의 운동과 식생활습관이 활동 체력, 만성질환 유병률,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박사학위논문]. 서울: 국민대학교 대학원, 2008.
  34. 최미숙. 노인들의 만성질환별 관리방법인식과 관리실천의 상관성 연구: 서울 노인복지센터 이용회원을 중심으로[석사학위논문]. 경기: 포천중문의과대학교 대학원, 2007.
  35. 최혜숙. 여성노인의 건강증진행위 모형구축[박사학위논문]. 서울: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6.
  36. 통계청. 2010 한국의 사회지표, 서울: 통계청, 2010.
  37. 한금선. 만성질환자의 스트레스 지각, 기분상태, 스트레스 증상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2003;33(1);87-94.
  38. Kaplan G, Barell V, Lusky A. Subjective state of health and survival in elderly adults. Journal of Gerontology 1987; 43(4);114-120.
  39. Lubben JE, Weiler PG. Health practices of the elderly poor.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1989;79(6):731-734. https://doi.org/10.2105/AJPH.79.6.731
  40. Walker SN, Best MA. Wellbeing of mothers with infant children: A preliminary comparison of employed women and home makers. Women and Health 1991;17:17-89. https://doi.org/10.1300/J013v17n03_02
  41. Wynder EL, Fujita Y, Harris RE, Hirayama T, Hiyama T. The comparative epidemiology of cancer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Japan. Cancer 1991;67(3);746-763. https://doi.org/10.1002/1097-0142(19910201)67:3<746::AID-CNCR2820670336>3.0.CO;2-1